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끝모를 자금시장 경색… 전문가 58% “1년내 단기 금융충격 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72명 조사

최근 자금시장 경색이 이어지면서 향후 1년 내 단기 금융 충격이 발생할 것이란 전망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기업 자금조달 여건 악화로 부실 위험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잇따른 시장 안정화 조치를 쏟아냈지만 기업들의 대표적인 단기 자금조달 수단인 기업어음(CP) 금리는 45일째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 10명 중 6명 “단기 금융 충격 온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하반기(7∼12월)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58.3%가 1년 이내 국내 금융시스템에 위기를 초래할 단기 금융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달 2∼9일 금융기관과 투자은행, 연구소 등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72명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단기 금융 충격을 경고하는 의견은 최근 급격히 증가했다. 향후 1년 내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음’ 또는 ‘매우 높음’으로 본 응답자 비중은 올해 5월(26.9%) 대비 31.4%포인트 급등했다. 반면 단기 금융 충격 가능성을 ‘낮음’ 또는 ‘매우 낮음’으로 평가한 비중은 32.1%에서 5.6%로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스템의 5대 위험 요인(복수 응답)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 부담 증가(69.4%)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 위험 증가(62.5%)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48.6%)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43.1%) △부동산 시장 침체(36.1%) 등을 꼽았다.

이 가운데 응답자들의 1순위 위험 요인으로 가장 많이 꼽힌 건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 위험 증가’(27.8%)였다. 최근 회사채 시장을 중심으로 자금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기업들의 위기가 고조됐기 때문이다. 이번 서베이는 최근 회사채 시장 대란을 촉발한 ‘레고랜드 사태’와 흥국생명 콜옵션 미행사 사태가 겹친 시점에 진행됐다.
○ 단기자금 시장 쏠림현상은 여전

꽉 막힌 기업들의 자금줄을 뚫기 위해 정부와 금융당국, 한은까지 나서서 수십조 원 규모의 시장 안정화 조치를 내놨지만 CP와 전자단기사채(전단채) 등 단기자금시장은 여전히 안정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지난달 23일 시장 안정화 정책을 택한 이후에 다른 시장은 많이 안정화됐지만 단기자금시장, 그중에서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의 쏠림현상은 아직까지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5일 기준 CP 91일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0.02%포인트 오른 연 5.50%였다. 이는 2009년 1월 12일(연 5.66%)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CP 금리는 올해 9월 22일(연 3.15%)부터 45일 연속 연고점을 갈아 치우고 있다.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자금조달 비용이 커지면서 어쩔 수 없이 차환(신규 증권을 발행해 만기 증권 상환) 대신 상환을 선택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실제로 이달 들어 25일까지 CP 및 전단채 발행액(ABCP 제외)은 67조1460억 원으로 상환액(71조1900억 원)을 밑돌아 23개월 만에 발행액보다 상환액이 많은 ‘순상환’ 상태가 됐다.

한은의 이번 서베이 참가자들은 향후 비은행업권의 금융취약성도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은 취약 채무자 비중과 함께 자산 및 부동산 PF 대출 부실화 우려가 높고, 증권사도 부동산 PF 위험 노출액(익스포저)이 많아 신용·유동성 리스크에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박민우 기자 minwoo@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