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인생 최대 흑자기 ‘43세’…61세부터는 적자 재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2020 국민이전계정’ 발표…연령별 경제자원 흐름은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만 16세 3370만원 ‘생애 최대 적자’
취업 맞물려 27세부터 흑자 진입

적자 재진입 연령 5년가량 늦춰져
적자 규모는 전년비 26.7% 감소

한국인들은 평균 27세부터 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의 삶’을 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이후 연령인 61세부터는 다시 ‘적자 인생’으로 접어들었다. 1인당 노동소득은 42세에 정점을 찍고 이후 하락세를 그렸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20년 국민이전계정’을 29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바탕으로 연령 변화에 따라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정부·가계의 재정 부담 등 미래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대비한다는 취지로 작성된다. 회계항등식에 착안해 생애주기별 적자 및 흑자 분포와 자원의 재배분 흐름 등이 분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만 16세에 연 3370만원으로 전체 생애주기 중 가장 컸다. 이 연령은 타 연령에 비해 교육 소비 규모가 큰 데 비해 노동소득이 없어 적자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적자 규모는 연령이 오를수록 감소해 27세부터는 흑자로 전환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 졸업자 등이 본격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연령과 맞물린다.

흑자 규모는 43세가 1726만원으로 가장 컸다. 61세부터는 은퇴 등 영향으로 다시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도별로 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데 반해 적자 재진입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10년 사이 5년 정도 늦춰졌는데, 통계청은 노동자의 은퇴 연령이 높아진 데다 생계를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독거 고령층이 많아진 영향으로 분석했다.

생애주기 전체 적자 규모를 보면 2020년에는 전년 대비 26.7%(3조5425억원) 감소한 97조4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소비는 감소한 반면 노동소득은 늘어난 영향이다.

2020년 생애주기 전체 소비는 전년 대비 1.9% 감소한 1081조7930억원, 노동소득은 전년 대비 1.5% 증가한 984조3230억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야외 활동이 제한돼 소비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인당 소비는 16세가 3370만원으로 최대였다. 이 연령의 경우 소득이 미미해 소비 규모가 곧 적자 규모가 된다.

1인당 노동소득은 42세(3725만원)에 고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세부터는 노동소득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연령층을 유년층(0~14세)과 노동연령층(15~64세), 노년층(65세 이상)으로 나눠보면 유년층과 노년층에서 각각 141조8290억원, 122조8530억원 적자가 발생했고 노동연령층에서는 167조2110억원 흑자가 나타났다. 유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교육 소비와 보건 소비 규모가 큰 데 반해 소득이 거의 없거나 적은 탓에 적자가 발생한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이전과 자산재배분(금융소득 등을 지출하는 것)을 통해 충당됐다.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50조5220억원은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41조7700억원, 105조5950억원 이전됐다. 자산을 매개로 한 자산재배분은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입이 발생했다.

특히 공공저축이 줄면서 공공 자산재배분이 2020년에 처음으로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국채 등을 발행해 마련한 재원으로 재정지출을 늘렸다는 의미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창준 기자 jchang@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