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이재용·최태원 친분 과시…바이든의 韓 반도체 아군 만들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급망 경쟁에서 중국 압박하기 위한 행보…한국기업엔 부담도

[아이뉴스24 민혜정 기자]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올해 삼성과 SK의 반도체 공장을 방문하며 한국과 반도체 동맹을 과시하고 있다. 특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과 친분도 거론해 눈길을 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같은 움직임은 중국 중심의 공급망을 미국으로 재편하려는 차원이 크다. 국내 기업에 이는 한국 반도체 경쟁력을 입증해 주는 행보기도 하지만, 중국에서 사업을 축소해야 한다는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바이든은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미시간주 베이시티의 SK실트론CSS 공장을 방문했다.

SK실트론CSS는 전력 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SK실트론의 미국 자회사다. SK실트론은 지난 2020년에 미국 듀폰의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해 SK실트론CSS를 설립했다.

아이뉴스24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미시간주 베이시티에 있는 SK실트론 CSS 공장을 방문해 탄화규소(SiC) 웨이퍼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이든이 미국에 있는 한국 기업의 반도체 공장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취임 이후 처음이다.

이날 행사에는 바이든 대통령 외에도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바이든은 공장에서 웨이퍼 제조 과정을 둘러봤다.

바이든 대통령은 SK 관계자들에게 감사함을 표하며 최태원 회장과 친분도 과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태원 회장과 친분이 있다"며 "지난 7월에 SK 최태원 회장이 화상 면담을 통해 500억 달러(약 66조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방한 하자마자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을 찾았다.

당시 이재용 회장은 3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공정 등 최신 기술을 직접 소개했다. 이 회장은 20여분간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을 밀착 수행하며 세계 1위 메모리반도체를 생산하는 1라인(P1)과 세계 최대 규모 3라인(P3)을 안내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부회장에게 "삼성의 반도체 제조 시설을 소개해줘 감사하다"며 "오늘 방문은 이번 방한에 특별한 출발이자 양국 경제 협력을 상징한다"고 감사함을 표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같은 한국 기업 챙기기는 실리적 차원이 크다. 공급망 경쟁에서 중국을 이기기 위해선 한국 기업의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삼성과 SK는 미국에서 반도체 관련 생산기지를 확대하고 있고, 미국 반도체 장비 업체들의 대형 고객사이기도 하다.

실제로 바이든 대통령은 SK실트론 공장을 방문해 "중국 같은 곳에서 만든 외국 반도체에 의존하는 대신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이 강화될 것"이라며 "이는 게임 체인저"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공급망은 다른 국가가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중국과 차이점"이라며 "우리는 더는 (중국의) 인질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의 공개적인 삼성·SK 챙기기가 두 기업에게 압박으로 작용될 여지도 있다. 두 기업은 중국에서도 반도체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지난달 중국을 상대로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내놨다.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는 지난달 7일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금지하는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18나노미터(nm)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핀펫(FinFET) 구조 또는 16·14nm 이하 로직칩 등 수출 통제 품목은 허가 없이 중국에 수출할 수 없다. 사실상 관련 기술 수출을 아예 통제하는 내용이다.

중국에 공장이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 규제 적용 대상에서 1년간 유예됐다. 그러나 미국은 반도체 장비 대국인 일본, 네덜란드에 규제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면서 다른 나라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ASML 같은 네덜란드 기업은 중국 매출 비중이 커 이에 반기를 들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기업 관계자는 "우리 기업들의 경우 1년이라는 기간이 유예됐기 때문에 규제가 어느 시점에 적용될지는 불투명하다"며 "미국 정부가 당근과 채찍을 꺼내들며 대중(對中)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민혜정 기자(hye555@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