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영빈관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의 국빈 만찬
외빈 초청에 특급호텔을 이용하는 것은 국격에 맞지 않아
새로운 영빈관 건축 계획 여론 비판에 철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청와대 영빈관 활용은 역사와 전통의 계승과 실용적 공간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오후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의 국빈만찬을 마친 후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 영빈관 활용 계기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국격에 맞는 최적의 장소가 청와대 영빈관이라는 취지다.
당초 대통령실은 용산 시대를 맞아 74년만에 청와대를 국민에 개방하며 대통령실의 활용을 자제해왔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 만찬에 국립중앙박물관을 이용한 이후 10여차례 정상급 외빈 방문 때 오·만찬 장소로 용산 대통령실 청사, 특급호텔 등을 이용해왔다. 지난달에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를 한남동 관저로 초청해 오찬을 갖기도 했다.
그러나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그간 외빈 초청에 특급호텔을 이용하는 것은 국격에 맞지 않는 데다 한남동 대통령 관저는 대규모 손님을 수용하기 어려워 매번 활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통령실의 한 고위관계자는 "한국의 국격이 있는 만큼 외빈을 매번 호텔이나 박물관으로 모실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한남동 관저 리셉션장·연회장의 경우에도 손님 20~30명을 밖에 수용하지 못할 정도로 좁아 각계각층이 모이는 국빈 만찬에 활용하기는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청와대 영빈관 내부 홀은 면적 500㎡, 층고 10m로 넓으며 연회를 위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어 외빈 초청에 최적화 된 장소로 평가 받는다. 특급호텔이나 박물관 등을 외빈 만찬 행사를 진행할 경우 열린 공간의 한계상 경호가 어려운 점도 청와대 영빈관을 활용하는 데 근거가 됐다.
청와대의 경우 개방을 하더라도 건물과 건물 사이가 멀고 주변 폐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호가 어렵지 않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번 행사를 준비하는 도중에도 영빈관 권역은 3일 전부터 폐쇄됐지만 이외의 청와대 본관, 관저, 상춘재, 녹지원 등을 관람객들에게 정상적으로 개방했다. 대통령실은 시민들의 관람 편의를 위해 향후 영빈관 이용 때는 하루만 폐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밖에도 여론이 작용했단 관측도 있다. 지난 5월 국립중앙박물관 만찬 당시에는 바이든 대통령 방한 사흘 전 주요 전시회가 취소돼 비판을 받았다. 또한 국가 주요 문화제가 조명 등으로 인해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히 878억원 규모의 새로운 영빈관 건축 계획도 여론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 영빈관 신축 계획이 첫 보도 된 지난 9월 대통령실은 "용산 시대에 걸맞은 영빈관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많은 국민들이 공감해주리라 믿는다"고 했지만, 경제 위기 상황에서 '돈 낭비' 라는 지적이 확산됐다. 이에 윤 대통령은 계획 철회를 지시했다.
청와대 영빈관 활용에 대해 여권 일각에서는 환영의 목소리도 나온다.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영빈관에서 국빈행사가 열리는 이 당연한 일이 참 어렵고 힘들게 돌아 돌아 왔구나 싶다"며 "이제라도 윤석열 정부가 청와대와 그 부속건물의 용도와 기능, 역사성과 의미를 되새겼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대통령실은 새 영빈관을 마련하지 못하는 한 앞으로도 기존 영빈관을 일부 수리해 주요 행사장으로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외빈용 숙소를 추가하는 방안도 아이디어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이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청와대 영빈관에서 행사를 진행함으로써 국내외 귀빈과 긴밀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