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DSR 1%P 상승하면 가계소비 평균 0.37% 줄어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소비제약 분석’ 보고서

고부채·저소득 가구 경우 0.47%↓

주택 소유별 고부채·非자가 가구

소비 0.42%↓… 전체 평균 웃돌아

“취약계층 금융부담 가중될 경우

필수 소비 중심 줄어 충격 더 커

가계부채 관리, 경기 안정에 중요”

금리 상승으로 인해 가계의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상승하면 가계소비는 평균 0.37%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경향은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非)자가 가구 등 취약계층일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일보

7일 오후 서울 시내 은행에 게시된 금리 안내 현수막.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조사국 동향분석팀은 7일 ‘금리상승 시 소비감소의 이질적 효과:가계 특성별 미시자료를 이용한 소비제약 분석’(BOK 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미시데이터인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 DSR와 부채소득비율(DI) 변화에 따른 소비제약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DSR는 가구소득 대비 채무에 대한 원리금상환액 비율로, 이를 통해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가늠할 수 있다. DI는 가구소득 대비 부채잔액 비율을 뜻한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DSR가 1%포인트 상승 시 가계소비는 평균 0.37%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계별 특성에 따라 DSR 상승에 의한 소비감소 효과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DSR 상승은 취약계층인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자가 가구 소비를 특히 제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DSR 1%포인트 상승 시 소비는 0.47% 줄어 전체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고부채-고소득 가구 역시 같은 조건일 때 소비가 0.46% 감소해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소득이 낮으면(하위 30% 이내) 필수적 소비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소비위축의 충격은 고부채-저소득 가구에서 더 컸다.

부채 수준을 감안하지 않고 소득 기준만 적용하면 DSR 1%포인트 증가 시 저소득 가구 소비는 0.28% 줄지만 중(소득 상위 30∼70%)·고소득(상위 30% 이내) 가구는 0.42%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 비중이 높아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면 소비를 조정할 여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채 및 주택소유별 분석에서는 고부채-비자가 가구는 DSR가 1%포인트 오르면 소비가 0.42% 줄었다. 고부채-자가-고부담(DSR 20% 이상)의 0.40%, 고부채-자가-저부담(DSR 20% 미만)의 0.25%, 비고부채-비자가의 0.13% 등에 비교하면 고부채-비자가 가구의 소비위축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셈이다.

DI의 경우 가계부채가 과도해 DI가 200% 이상인 경우 DI가 추가로 상승하면 소비 역시 감소했지만, 200% 미만에서는 DI가 상승하더라도 가계부채 증가분의 일부를 사용하면서 소비가 증가하는 비선형성이 관측됐다. 특히 DI가 높은 상태(200% 이상)에서는 DI의 추가 상승으로 인해 고부채-저소득 가구의 소비를 가장 크게 제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의 오태희 과장은 “향후 가계의 금융부담이 가중될 경우 고부채-저소득 등 전형적인 취약계층의 소비는 필수적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이 금융안정뿐 아니라 소비 평활화를 통한 경기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준영 기자 papeniqu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