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시진핑 “위안화로 원유 결제 추진”... 달러 패권에 정면도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GCC 정상회의서 처음 밝혀

국제 석유시장서 달러 패권 도전

조선일보

8일(현지 시각) 리야드 알야마마궁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앞줄 오른쪽)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시진핑(앞줄 왼쪽) 중국 국가주석을 영접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9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중국·걸프협력회의(GCC) 정상회의에서 “향후 3~5년 동안 (중국은) 걸프협력회의 국가들로부터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을 늘릴 것”이라며 “상하이 석유·천연가스 거래소(SHPGX)를 충분히 이용해 원유와 천연가스의 위안화 결제를 추진[開展]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국영 CCTV 인터넷판이 이날 보도했다.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는 중국은 그동안 원유·가스 수입 대금을 위안화로 지불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의욕을 내보였지만, 시 주석이 직접 이런 의사를 밝힌 것은 처음이다. 이 방안이 실현될 경우 국제 석유 시장에서 달러의 위력이 줄어들고, 미국이 거세게 반발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CCTV 인터넷판이 보도한 시 주석의 이날 발언은 중국이 2016년부터 사우디에 제안한 위안화 결제 방안이 사실상 이뤄졌거나 타결 직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1974년 석유 파동 이후 원유 결제는 미국 달러화로 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이러한 ‘페트로 달러’ 체제는 달러가 글로벌 통화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들어준 핵심 축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중국이 원유 거래에 위안화 결제를 도입하는 것은 달러 패권이라는 견고한 댐에 금이 갈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조선일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9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제1회 중국·아랍 정상회의에 참석했다./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앞서 시진핑 주석은 8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앞으로 2년에 한 번씩 양국에서 번갈아가며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양국 정상이 이날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협정에 서명한 가운데, 두 나라 기업들은 녹색 에너지, 정보 기술, 물류, 의료, 건설 등 분야에서 투자 협정 34건도 체결했다. 사우디 국영 SPA통신은 “양국이 체결한 무역 협정의 총규모가 292억6000만달러(약 38조1000억원)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은 회담에서 “중국은 사우디를 다극 체제의 중요 세력으로 간주하며, 사우디와의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면서 “사우디와의 관계 강화를 중국의 외교, 특히 중동 외교에서 우선순위에 놓을 것”이라고 했다.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는 ‘하나의 중국’ 원칙과 중국의 반(反)테러 조치들을 지지하며 외부 세력이 인권을 내세워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강하게 반대한다”면서 “주요 20국(G20) 등 외교 무대에서 중국과 함께 각종 이슈에 대응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시 주석과 빈 살만 왕세자는 이날 회담에서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와 사우디 ‘비전 2030(석유에 의존해온 경제를 문화·첨단 기술·제조업 중심으로 전환하는 국가 계획)′을 조화·융합해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내용의 협정에도 서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양국 기업들이 체결한 경제 협정에는 중국 통신 장비 업체 화웨이가 사우디의 클라우드·초고속 인터넷 사업에 참여하는 계획도 포함됐다”고 전했다. 미국은 2019년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려 자국 시장에서 퇴출시켰고, 동맹국에도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해 왔다.

시 주석의 사우디 방문은 지난 7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석유 증산을 요구하기 위해 사우디를 찾았다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돌아간 것과 대조적이다. 사우디가 석유 생산, 인권 문제 등으로 미국에 불만이 커진 틈을 노려 중국이 사우디와 밀착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서방 국가들의 반중(反中) 전선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협력국이 절실한 상황이다.

사우디 입장에서도 중국은 최대 교역국으로서 협력 강화 필요성이 크다. SPA에 따르면, 지난해 양국의 무역 규모는 800억달러에 달하고, 사우디 원유 수출의 4분의 1이 중국으로 향한다. 포린폴리시(FP)는 7일 시 주석의 사우디 방문은 사우디와 미국 간 ‘일부일처 시대’의 종식을 의미한다고 보도했다.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