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10년간 중산층 비중 55→61%…자녀 중산층 진입 기대, 소득이동성은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DI, 정부 복지 포함 처분가능소득 기준 분석

헤럴드경제

[KDI 자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중산층 비중은 60%대까지 늘어났지만 자녀가 중산층에 진입할 것이라는 기대나 소득이동성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당장 소득분배 개선보다 좋은 일자리 창출, 고용 확대, 실용 교육 등 동태적인 계층이동 가능성 제고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10년간 중산층 비중 60%대까지 확대한국개발연구원(KDI)은 31일 이 같은 내용의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디지털 전환과 일자리 감소 등으로 중산층 축소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실제 중산층 비중은 최근 10년간 늘거나 유지되고 있다.

통계청에서 주로 활용하는 중산층 개념인 '중위소득 50∼150%' 비중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2011년 54.9%에서 61.1%로 높아졌다.

다만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10년간 50% 안팎을 유지 중이다.

시장소득은 근로·사업소득 등 '일해서 번 돈'이고, 처분가능소득은 시장소득은 연금·지원금 등 정부의 이전지출까지 포함한 소득이다.

시장소득 기준 중산층이 50%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은 60% 이상으로 늘었다는 것은 최근 10년간 정부의 복지혜택이 중산층 확대에 영향을 줬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쓰는 중산층 기준인 '중위소득 75∼200%'로 보면 국내 중산층 비중은 2021년 61.1%로 OECD 평균 61.5%와 유사한 수준이다.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중위소득 50% 아래인 빈곤층이 15.1%로 OECD 평균 11.4%보다 높은데, 이는 특히 심각한 노인 빈곤 문제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자녀 중산층 진입 기대감 낮아…“동태적 계층이동 제고해야”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 비중이 실제 늘었을 뿐 아니라, 스스로 '나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도 2013년 51.4%에서 2021년 58.8%로 높아졌다.

그러나 '계층 이동 사다리'에 대한 믿음은 줄어들었다. 개인의 노력으로 더 높은 계층으로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낮아지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노력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매우 높다'와 '비교적 높다'로 응답한 비율은 2011년 28.8%에서 2021년 25.2%로 감소했다.

'자녀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1년 41.7%에서 2021년 30.3%로 낮아졌다.

실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시장소득, 처분가능소득 모두 소득 이동성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달라지는 정도가 크지 않았다는 뜻이다.

여기에 부동산 자산을 중심으로 자산 불평등도 커지고 있다. 소득 이동성 감소와 자산 불평등 확대는 세대 간 계층 대물림, 교육격차 확대로 이어지는 중이다.

이 부장은 "정부의 이전지출을 통한 중산층 확대만으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계층 상향이동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뚜렷하다"며 "생산적인 활동을 통해 상향이동 가능성을 높이는 중산층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고서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은퇴 중·고령층의 고용 기간 연장 유도, 여성 배우자 취업 장애요인 해소와 일 가정 양립 지원 내실화 등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thl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