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서병기 연예톡톡]백종원의 재래시장 살리기가 대박 난 비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전통시장 개발 모델이 나왔다. 백종원의 예산 구도심지역 상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된 예산재래시장 살리기 ‘백종원 시장이 되다’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백종원은 어릴때 추억이 묻어있는 고향인 충남 예산 재래시장 가게 5곳을 개발했는데, 대박이 났다. 오픈한 날부터 보름 동안 무려 3만여명이 시장을 다녀갔다고 한다.

많은 유튜버들이 이 곳을 찾아 리뷰를 올리고 있다. 소위 리액션 동영상이다. 그 동영상을 보면 먹거리 장옥의 넓은 공간에 수많은 사람들이 앉아 고기 등을 구워먹고 있었다. 설 연휴나 평일에도 사람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백종원 시장이 되다’라고 해서 백종원이 시장 출마하는 줄 알았다. 알고 보니 백종원이 시장을 살리는 프로젝트다. 시장 살리기는 지역살리기다. 예산은 백종원이 6살때부터 찾았던 추억과 기억이 묻어있는 공간이다. 그런데 시장 가게마다 임대를 구한다는 표식이 붙어있는 등 적막하고 황량한 유령도시로 변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옛날 모습은 유지되고 있었다. 이런 걸 ‘갬성’이라고 하는 걸까?

“민속촌을 갔을때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빈대떡이라도 붙여먹으면 좋았을텐데. 장군의 아들 촬영장에서는 ‘국밥’을 하면 대박이 날텐데. 시장의 테마를 지역특산물을 이용한 메뉴를 만들고, 그 느낌에 맞는 인테리어를 넣었다. 예산시장은 그런 곳으로 딱이다.”

헤럴드경제

그렇게 해서 백종원은 예산시장을 옛날 느낌이 나게 해 다른 곳에서는 느낄 수 없는 60~70년대 시간속 정감을 만들어냈다. 백종원은 “전통시장은 현대화로 이긴 사례가 거의 없다. 재래시장은 마트와 경쟁이 안된다. 그래서 우리는 전통시장을 더욱더 전통화한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본코리아 대표인 백종원은 사업비용을 자체적으로 충당했다. 이유는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해 임대료가 올라 지역상인들이 밖으로 밀려날 수도 있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백종원은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예덕학원에서 매장들을 매입하는 방식을 택했다.

백종원 대표가 개발한 5곳은 정육점, 국수집, 닭볶음, 불판집, 바베큐집 등이다. 정육점에서 고기를 사면 시장 입구에 위치한 먹거리 장옥의 넓은 공간에 마련된 테이블에서 둘러앉아 구워먹을 수 있다.

그는 신광정육점 인테리어를 할때 시공업자가 과거 타일을 떼버리는 등 옛날 느낌을 다 죽여버렸다며 열을 낼 정도로 감성을 중요시했다. 찌듯이 구워 겉바속촉 맛이 나게 하는 게 특징인, 대형으로 특별주문한 (닭)바베큐그릴은 시각을 자극하게 하는 등 손님들의 시선까지 생각하며 만들어졌다.

헤럴드경제

변화에 대한 불안을 느낀 기존시장 상인들의 반발도 극복해야 했다. 백 대표는 자연채광을 줄여 조명으로 분위기를 만들려고 했지만, 인근 상인은 “시장은 환해야 한다. 백종원이 아니라 누가 와도…”라면서 반대했다. 백 대표는 그런 상인들까지 설득해가면서 예산시장만의 특성을 만들어냈다. 이후 천장을 검은 천으로 덮고 은은한 조명으로 밝히니 정겨운 야시장 같은 분위기가 형성됐다.



백 대표는 셀럽 지인 찬스까지 써가며 방탄소년단의 최고참 멤버 진이 군대가기 1주일전 예산시장을 방문하게 함으로써 홍보에도 열을 올렸다. 그런 노력들이 합쳐져 썰렁했던 시장골목은 감성적인 시장골목으로 환골탈태했다.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백종원 대표는 식당에 손님이 찾을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는 ‘백종원의 골목식당’이나 지역 특산물을 활성화시키는 ‘맛남의 광장’ 등등 적지 않은 히트 콘텐츠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지상파가 아닌 백종원의 유튜브 개인채널에서 ‘백종원 시장이 되다’ 동영상을 올려 큰 성과를 거뒀다.



‘백종원 시장이 되다’는 0화부터 3화까지 불과 4개의 동영상이 공개됐을 뿐인데도 각각의 조회수가 100만에 육박하거나 100만을 넘을 정도로 인기다.

백종원의 시장 살리기 프로젝트는 이제 다른 지역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됐다. 음식점, 시장 살리기를 통한 지역살리기는 다른 지자체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백종원은 충남 예산에서 시작해 다른 지역의 시장으로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쉽게 얻어지는 결과가 아니다.

예산 시장 살리기 프로젝트도 2019년부터 준비했다. 투입된 인력만 200명이 넘었다. 예산군과 MOU를 체결하고 차근차근 실행해나갔다. 시장안의 오래된 화장실을 최신식으로 고쳐 기부하기도 했다. 골목양조장 등을 연구하는 등 많은 선투자가 이뤄졌다. 거기에 백종원이 음식을 테마로 지역에 도움을 주는 ‘시장’이 되겠다는 꿈과 열정이 더해져 재래시장 활성화가 가능해졌다.

wp@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