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챗GPT발 AI 무한경쟁, 네이버도 참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최유리 기자] 오픈AI의 챗GPT 열풍에 네이버도 뛰어든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자사 검색엔진 ‘빙’에 챗GPT 탑재를 예고했다. 구글이 장악한 검색 엔진 시장에 정면 대결을 선언한 것이다. 검색엔진 시장 대변혁의 시작이다. 네이버도 새로운 검색 AI 서비스를 통해 경쟁에 나선다.

네이버, 올 상반기 ‘서치AI’ 선보인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3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같은 새로운 검색 트렌드에 대한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올 상반기 내로 네이버만의 향상된 검색 경험인 ‘서치 GPT’를 선보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한국어로는 가장 고품질의 검색 데이터를 가장 많이 보유한 사업자일 뿐만 아니라 초거대 AI 모델로는 세계 정상급의 기술을 자부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AI 기술 개발 회사다”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네이버가 선보일 ‘서치AI’는 기존 검색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 지하철 요금처럼 정보가 요약된 답변이 필요한 검색에 대해서는 신뢰도가 높은 최신 콘텐츠 데이터를 출처와 함께 요약해 제공하는 식이다. 또 ‘노트북 싸게 구매하는 방법’처럼 조언이 필요한 검색에 대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답변을 제시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 AI챗봇 테스트…전 세계서 경쟁
구글은 챗GPT 등장에 ‘코드 레드’를 발동했다. 무엇이든 물어보면 바로 대답하는 챗GPT가 장기적으로 구글 검색을 대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다. MS는 검색엔진 빙을 포함해 엑셀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계획이다.

구글도 결국 새로운 AI 서비스를 서둘러 꺼내 들었다. 순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2일(현지시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앞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안에 구글의 AI 기반 언어 프로그램인 ‘람다’와 같은 AI 기반의 광범위한 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는 오는 3월 AI챗봇을 출시할 예정이다. 바이두는 그동안 수십억 달러를 AI 연구 개발에 투자해왔다. 바이두는 사용자들이 챗봇 서비스를 통해 오픈AI의 챗GPT처럼 대화형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할 것으로 보인다.

스태티스타는 구글이 전체 검색시장의 84%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뒤이어 MS 8.9%, 야후 2.6%, 얀덱스 1.5% 순이다. 하지만 챗GPT 열풍이 거세 검색시장에 불어닥칠 변화는 예측 불가능하다. 챗GPT는 출시 5일 만에 사용자 100만명을 돌파했으며, 현재 하루 이용자가 1000만명에 달한다.
아시아경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제공=네이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윤리 문제 등 과제 남아있어
격화되는 AI 경쟁에 구글, 네이버 등이 새로운 서비스를 서둘러 선보이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다. 가장 대표적인 게 AI 윤리다. AI가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차별·혐오 등을 학습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21년 혐오 발언을 학습해 서비스가 중단된 AI챗봇 ‘이루다’가 대표적이다. MS는 2016년 챗봇 ‘테이’가 특정 인종을 혐오하는 등의 발언을 해 출시 하루도 안 돼 서비스를 중단했다.
수익화 모델도 고민거리다. 오픈AI는 챗GPT의 유료 버전을 이용료 월 20달러(약 2만4000원)에 내놓겠다고 밝혔다.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가 쏟아져 나오면 유료 이용에 이용자들이 반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최 대표는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챗GPT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비용효율적인 면에서 검토할 과제가 많다”며 “네이버가 구축해 놓은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가 계속 발전하고 있고, 유료 B2B(기업간거래) 시장도 열리고 있기 때문에 서치 GPT 투자를 통해 수익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