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문과 침공’ 후 이공계 전공까지 ‘체리피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학에 ‘콩나물 강의실’ 왜

65명 수업에 150명이 몰려
“본전공생이 수업 못 듣기도”

A대학 컴퓨터학과에 재학 중인 황덕근씨(22)는 수강신청 때마다 매번 ‘광클’(빛처럼 빠른 마우스 클릭)을 해야 한다. 컴퓨터학과 전공 수업에 다른 과 학생들까지 몰리기 때문이다. 정작 전공하는 학생이 수업을 듣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니 학과에서 수강 가능 인원을 조정하기도 한다. 황씨는 6일 기자와 통화하며 “지난 학기 ‘기계학습’ 전공 강의는 정원을 두 번 조정해 80명에서 120명까지 늘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컴퓨터학과 학생 B씨(25)는 지난 학기에 65명이 정원인 전공 강의를 150명과 함께 들어야 했다. B씨는 “원래 강의가 많지 않고 수강 가능 인원도 적어 본전공생들만으로도 수강 신청이 어려웠는데, 타과생까지 많아지니 본전공생이 원하는 수업을 못 듣게 되는 상황이 정말 빈번하다”고 했다.

사회에서 이공계열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교차지원으로 인문사회계열에 입학한 대학생이 복수전공 등을 통해 이공계열로 ‘돌아가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인기 이공계열 학과는 예상보다 수강생이 늘어나 수업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대학 곳곳에 ‘콩나물 강의실’이 나타나기도 한다. 문·이과 통합수능 체제에서 빚어진 ‘이공계 쏠림 현상’ 문제가 입학 후 대학 안으로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교차지원으로 C대학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한 김지우씨(21)는 올해 ‘일반물리학’과 ‘미분적분학’ 등을 수강한 뒤 기계공학과를 이중 전공할 계획이다. 교차지원으로 어문계열에 입학한 D씨(22)는 생명공학과를 이중 전공하기 위해 이미 관련 전공을 수강했다.

대학 관계자들은 이과 선호 현상과 교차지원이 가져온 ‘이과 쏠림’을 체감하고 있다. 박수용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늘어나는 수강생으로 인해 강의 부담이 커진 게 사실”이라며 “전공필수 강의의 경우 본전공생과 타과생 시간을 구분해 강의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고등학교까지 이과였다고 하지만, 인문사회계열 학과에서 대학 생활을 시작한 학생들은 이공계열 학과로 돌아간 후 ‘재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김지우씨는 “기계공학과에 아는 사람이 없어서 강의 정보를 얻기 힘들어 걱정”이라며 “색이 전혀 다른 두 학문을 공부해야 한다는 것도 부담거리”라고 했다.

박 교수는 “본전공생은 선수과목을 이수하고 학년을 서서히 올라가는데 타과생은 그렇지 못하다”며 “예를 들어 JAVA(프로그래밍 언어) 같은 기초 수업을 안 듣고 소프트웨어공학 등 심화 강의를 들으면 고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방치하면 학생과 학교 모두에게 피해가 된다고 입을 모았다. 조상식 동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이과생이 인문사회계열 전공으로 교차지원해 입학하면 전공 합치도 때문에 결국 다시 이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며 “학생 이탈로 폐강되는 일이 많아지면 학사 운영에 걸림돌이 된다”고 지적했다.

김나연 기자 nyc@kyunghyang.com

▶ 나는 뉴스를 얼마나 똑똑하게 볼까? NBTI 테스트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