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보험사, 상반기 콜옵션 만기도래 1.8조···이번엔 문제없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DB·현대푸본·한화생명 "콜옵션 이행한다"

고금리에 조달전략은 '상환' 혹은 '차환' 갈려

KDB생명·신한라이프 "시장상황 보고 방법 결정"

이데일리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데일리 유은실 기자] “콜옵션 연기는 옵션에 없다. 콜옵션은 이행하되, 시장 상황을 보고 차환 혹은 상환을 결정할 예정이다”

올 상반기 대규모 조기상환권(콜옵션) 만기를 앞두고 있는 보험업계가 ‘콜옵션 이행’은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말 흥국생명 사태로 콜옵션 연기 리스크를 눈 앞에서 본 만큼, ‘콜’을 차근차근 준비해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상환·차환에 대한 자금조달 계획은 금리 상황과 자본 여력 등 대내외 여건에 따라 회사별로 갈릴 전망이다.

6일 보험업권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들이 올해 상반기 콜옵션을 해야 하는 자본성증권 규모는 1조8500억원 수준이다. 올해 안에 콜옵션 행사일이 도래하는 규모는 약 4조원이다. 외화 자본성증권을 발행한 한화생명·KDB생명의 증권은 발행가를 기준으로 집계했다.

상반기 기준으로 후순위채는 DB생명(800억원), 메리츠화재(1000억원), DGB생명(500억원), 롯데손해보험(600억원), 신한라이프(2000억원) 순으로 콜옵션 만기가 돌아온다. 푸본현대생명(600억원)을 비롯해 한화생명(10억달러), DB생명(300억원), KDB생명(2억달러) 등은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만기를 앞두고 있다.

이들 보험사들은 “콜옵션을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더이상 콜옵션이 옵션이 아니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갑작스럽게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할 경우 신뢰도와 평판에 금이 갈 수 있어서다. 이에 ‘상환’과 ‘차환’ 중 하나의 카드를 골라 들겠다는 것이다.

특히 예년과 달리 채권 재발행보다 현금 상환을 결정하는 곳들이 늘어나고 있다. 올해 가장 먼저 콜옵션 만기를 맞이하는 DB생명은 차환이 아닌 상환을 결정했다. DB생명은 2월 13일 8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권을 상환할 계획이다. 지난해 한 차례 계약 변경으로 콜옵션 시기가 5월로 바뀐 신종자본증권(300억원)도 차질없이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DB생명 관계자는 “2월 후순위채, 5월 신종자본증권 모두 내부 자금으로 상환하고 콜옵션을 이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중 가장 큰 규모의 콜옵션이 도래하는 한화생명 역시 상환 방침을 밝혔다. 한화생명은 “앞서 발표한 대로 추가 자본확충 없이 신종자본증권을 상환할 계획”이라며 “해외 자본성증권은 국내에 유입하지 않고 당국 지침에 따라 모두 해외 외화자산으로 매칭해 운용 중이라 유동성이나 건전성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푸본현대생명 등 일부 중소형사는 콜옵션 기존 문법에 따라, 차환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통상 보험사들은 자본성증권의 콜을 결정하면서 콜옵션 만기 전후로 새로운 자본성증권을 발행해, 조기 상환을 해왔다.

아직 자금조달 계획을 세우지 못한 곳도 있다. KDB생명은 오는 5월 신종자본증권(2억 달러 규모) 콜옵션 행사 방법을 놓고 아직 구체적인 방안을 확정하지 못했다. KDB생명 관계자는 “예정대로 5월 콜옵션 이행 계획을 수행할 것”이라며 “다만 구체적인 방법은 대주주와 협의 중에 있다”고 말했다.

신한라이프 역시 콜옵션 이행은 확정했지만, 시장 상황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금리나 외환 상황이 계속 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금융업계 전문가들은 보험사들이 ‘고금리 상황’과 ‘자본비율’을 고려해 콜옵션 시행 계획을 저울질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말에 비해 금리가 안정화됐다고 하나 아직 높은 수준인 데다, 자본성증권은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에 더 높은 금리를 주고 증권을 발행해야한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증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게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여기에 올해부터 시행된 새 국제회계제도(IFRS17)와 새 지급여력제도(K-ICS)도 변수로 작용했다. 일반적으로 자본성증권은 규제상 자본으로 인정된다. 자본성증권이 규제 자본비율 관리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는 만큼 자본비율을 지켜야 하는 곳은 차환을, 자본여력이 충분하면 차환 없이 상환을 결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기업평가 관계자는 “유사한 증권을 발행해 차환하는 형식으로 콜옵션을 시행하는 게 기존의 방법이지만, 고금리라는 이례적인 상황이 큰 변수로 작용했다”며 “금리가 높아지는 상황이 지속되고 새로운 회계제도 아래 자본비율 유지에 문제가 없다면, 상환을 결정하는 곳들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