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늘어나는 비만 인구…정부 정책 뒷받침·질병인식 개선해야” [스페셜리포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정환 한양대병원 교수 “비만한 사람 게으르단 인식 바뀌어야”

이투데이

박정환 교수는 “(비만 치료 및 관리를 위해) 미래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센터와 연계된 운동치료, 심리상담치료, 체육활동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인구가 줄어들고 일할 수 있는 적정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조속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만도 질병이지만, 사회적인 인식은 그렇지 못하다. 지속 증가세를 보이는 비만에 대해 적극적인 치료 및 대책 마련을 위해 정부의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11년에서 2021년까지 최근 10년 간 성인 비만 유병률은 2011년 31.4%에서 2021년 37.1%로 5.7%p 증가했다.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지난 10년간 10% 전후로 유지되다 코로나 이후 15% 이상으로 급증했다.

최근 본지와 만난 박정환 한양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대한비만학회 대외협력정책이사)는 “비만이 질병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사회적으로 동의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한다”며 “비만에 대해서 외형, 외모의 문제로 접근하거나 개인이 나태한 생활습관으로 인한 결과라고 보는 경향이 많다. 질병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을 비롯한 대사·혈관성 질환 등의 발생과 연관돼 있으며, 대부분의 암 발생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제 비만이 이들 합병증에 미치는 기여도는 고혈압 75%, 암 33%, 당뇨병 44%, 허혈성 심질환 23%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수면무호흡, 관절질환, 통풍, 위장관 질환, 알레르기, 남녀 생식능력의 저하에 따른 불임 등에도 영향을 준다.

박 교수는 “비만을 치료하면 그에 따른 비만 합병증인 당뇨, 고혈압 등도 자연스레 해결된다.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뇌졸중, 암 발병률도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사망률도 낮출 수 있다”며 “비만의 가장 큰 사회적 문제는 겉으로 드러난다는 데에 있다.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개선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에서도 비만의 심각성을 고려해 올해 제2차 비만관리종합대책을 발표한다. 하지만 비만에 대한 정의조차 불분명하다고 박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학회에서는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경우, 허리둘레가 남자는 90㎝, 여자는 85㎝ 이상일 때 비만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정치권에서 비만 기준을 너무 낮게 잡아 사회비용을 증가시켰다는 비판이 제기돼 BMI가 30으로 올리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로 인해 국가에서 비만에 대한 정의도 제대로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한국 사람은 BMI가 25가 넘어서면서부터 사망률, 당뇨 등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는 “나라별 데이터에 따라서 정의를 내려야 한다. 환자가 죽고, 병드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들이대도 정치적 논리, 사회적 논리로 접근하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이투데이

박정환 한양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가 본지와 만나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정된 건강보험 재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복안으로 소아청소년 비만 관리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에 대한 건보재정 투입을 고려했으면 한다”며 “소아 당뇨환자가 급증하고 난 뒤, 딱 10년 뒤 성인 당뇨 환자가 증가했다. 당장 1~2년을 보는 게 아니다. 미래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센터와 연계된 운동치료, 심리상담치료, 체육활동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인구가 줄어들고 일할 수 있는 적정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조속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최근 비만 치료제 삭센다에 이어 위고비, 마운자로 등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 박 교수는 약물의 효과는 분명하지만, 약물치료에 의존하기보다는 생활습관을 개선해 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배경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비만치료제를 먹는 대상도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거친 결과 비만에 대한 효과가 발생한 것”이라며 “마른 사람의 안전성 데이터는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비만 치료제를 안 먹어도 될 사람이 복용 시 잘못된 행위가 그릇된 인식을 심어줘 약의 오남용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박 교수는 “아직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지만, 발생할 수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선 비만이 심각한 문제인 만큼 패스트트랙으로 처리한다. 장기간의 데이터 없이 단기간의 안전성만 가지고 시장에 나온 만큼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투데이/노상우 기자 (nswreal@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