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 광스위치 양자 메모리 원천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화학과 서영덕 교수팀이 지속 가능한 '나노결정 양방향 광스위치' 현상과 원리를 발견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3D 광양자 메모리 분야(3D All-optical Quantum Memory)의 세계 최고 정밀도를 구현함으로써 양자컴퓨팅 시대에 쓰이게 될 '3D 광양자 메모리'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지 '네이처(Nature)'의 5월 31일 자 온라인에 공개됐다.

UNIST를 포함한 국제공동연구팀은 광사태 나노입자(ANP)의 차세대 광 메모리 분야에서의 획기적 응용처를 찾아냄으로써 커다란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번 연구로 광사태 나노입자(ANP)가 3D 광양자 메모리 및 바이오·나노 프로브, 초해상도 나노경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연구팀은 '무제한 지속가능한 나노결정 양방향 광스위치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한 번 더 보여줬다.

연구팀은 2021년 1월 란탄족 금속이 도핑된 광사태 나노입자에서 초미세 나노결정 내의 연쇄 증폭 반응을 통해 극단적으로 증폭된 아주 센 빛을 내는 광사태 현상과 광사태 나노입자 물질을 발견해 네이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된 이력이 있다.

당시 연구에 참여했던 이창환 컬럼비아대 박사 후 연구원은 광사태 나노입자에서 극단적으로 증폭된 빛을 내도록 하는 연쇄 반응을 유도했다. 지난 연구에 이어 이번 응용 연구에서는 광사태 나노결정들이 새로운 특징과 응용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인위적·무한적으로 반복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광스위치 현상과 그 현상의 '3D 광양자 메모리'의 응용에 대한 발견이다.

유기 염료와 형광 단백질은 광학 메모리, 나노 패턴화, 생체 이미지화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됐다. 이런 형광분자들은 2014년 노벨 화학상 연구 주제가 되는 등 지난 수십 년간 해당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형광분자들은 빛을 받으면 무작위로 깜박이고, 결국에는 완전히 탈색돼 사라져 버리는 경향 때문에 수명이 짧다는 치명적 단점을 지닌다. 이를 '광탈색(Photobleaching)' 현상이라고 일컫는다.

이런 광탈색 현상과 대조적으로 란탄족 금속들이 도핑된 나노입자는 예외적인 광안정성을 보인다. 연구팀은 네이처지에 발표된 논문에서 이런 광안정성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근적외선 사용으로 열변성의 징후를 보이지 않으면서 다양한 주변 환경과 물 환경에서도 나노결정의 점등과 소등에 대한 테스트를 수천 번 이상 반복할 수 있었다.

이창환 컬럼비아대 박사 후 연구원은 "우리는 간단한 소형 레이저를 사용해 빛의 파장 하나로도 빛을 컨트롤하고, 다른 파장으로 빛을 전환할 수도 있다"며 "근적외선 빛은 광독성이나 광산란을 최소화하면서, 생물학적 조직과 무기화학적 물질 등 모두 물질에 대해 깊이 침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잠재적 응용 분야와 관련해 입자가 3D 기판에 나노 패턴을 반복적으로 썼다가 지웠다하는 반복 패턴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도 험실으로 확인했다. 이런 발전을 통해 앞으로 초고밀도 광양자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영덕 화학과 교수는 "이런 무한 반복 가능한 양방향 광스위치는 과거 많이 사용됐던 CD-ROM이나 CD-RW의 원리처럼 향후 초고성능 양자 컴퓨터에서 생성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광양자 메모리 장치로 발전될 것"며 "거대한 데이터 저장 용량을 보유하면서 훨씬 더 빠르고, 정확하고, 정밀하게 작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까지 연구에서 관찰된 광스위치 현상의 근원을 첨단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도 시각화할 수 없는 정도의 매우 작은 '원자 결정 결함 (Atomic Crystal Defect)'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원자 결정의 결함을 통해 광사태 나노결정의 광사태 임계값의 더 높거나 낮게 이동시키고, 다른 빛 파장을 사용해 신호 밝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광양자 메모리, 초해상도 나노경, 바이오·나노 이미징 및 바이오 센서 분야에서 잠재적인 응용 분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밖에도 머신러닝 및 계산모델과 함께 버클리 연구소의 Molecular Foundry에서'나노입자 합성로봇'을 사용해 이런 결정의 특성들을 더 향상시킬 계획을 갖고 있다.

또 비슷한 광전환 특성을 나타내는 다른 나노입자들을 만들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도 후속 연구 목표다.

공동 연구를 진행한 버클리 연구소의 코헨 박사는 "2009년에 언급했던 '란탄족 계열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에서 나오는 발광 빛은 점멸하지도, 탈색되지도 않고, 늘 켜져 있다'고 주장해 왔던 연구 방향이 이번 발견으로 뒤바뀌었다"며 "인위적으로 무한 점멸이 가능한 양방향 광스위치 현상을 발견을 통해 예상치 못했던 결과를 받아들이는 것이 어렵지만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연구실 사업, UNIST 연구정착금 과제, 기초과학연구원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 과제 등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 미국 버클리연구소 연구원들이 함께 하는 국제공동 연구팀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