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국립고궁박물관, 성균관대 박물관서 대동여지도 전시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궁박물관, 일본서 들여온 지도 전시

성균관대, 지도에 지명 표시해 눈길



헤럴드경제

지난 3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대동여지도 환수 언론 공개회.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조선시대 지도의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 유물인 대동여지도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는 전시가 국립고궁박물관, 성균관대 박물관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어 주목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최근 일본에서 국내로 들여온 대동여지도를 공개하고 있다.

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을 채운 이 지도는 1864년 제작한 대동여지도 목판본 위에 또 다른 지도인 ‘동여도’(東輿圖)의 지리 정보를 추가한 점이 특징이다.

대동여지도를 한층 업그레이드한 지도로,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독특한 형식이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지도 22첩, 목록 1첩 전체가 펼쳐진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대동여지도 실물과 조금 떨어진 공간 바닥에는 확대된 크기의 인쇄물을 설치해 그 시절 우리 땅을 발로 디뎌보는 듯한 경험도 느낄 수 있다.

김정호가 처음으로 만든 전국 지도인 ‘청구도’(靑丘圖·1834년), 1만8000여 곳의 지명과 지리 정보를 담은 동여도 등과 대동여지도를 비교해 설명한 패널 내용도 주목할 만하다.

성균관대 박물관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대동여지도를 선보이고 있다.

최근 개막한 기획 전시 ‘성균관의 보물’에서 공개한 대동여지도는 전시실 벽면을 따라 입체적으로 표현해 눈길을 끈다. 지도 22첩을 펼쳐 바닥에 두는 기존 전시와 다른 점이다.

지도 위에 ‘서울’, ‘인천’, ‘북한산’, ‘설악산’ 등 지명을 표시한 점도 다소 독특하다.

박물관 측은 단순히 유물을 보여주는 것보다 지도 본연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두 전시를 통해 대동여지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향후 후속 연구로 이어지길 바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국내외에서 확인된 대동여지도는 38건에 달한다.

이 가운데 성신여대 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대동여지도 3건과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쓴 목판 1건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관리되고 있다.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 추정∼1866 추정)가 목판에 새겨 만든 전국 지도로 알려져 있다. 일각에서는 실존 인물인지 여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대동여지도는 조선 국토를 남북을 따라 22층으로 나누고, 각 층은 부채처럼 접을 수 있도록 했다.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총 22권의 지도책이 있는 셈이다.

이를 모두 펴서 이어 붙이면 가로 3.3m, 세로 6.7m 크기의 대형 지도가 된다.

sooha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