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연구팀, 과학저널에 발표
![]() |
Experimental Dermatology 9월호 표지 [(사진 = 서강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성기 주변의 털들은 왜 머리카락에 비해 곱슬까?
앞서 서강대학교 바이오계면연구소는 지난달 27일 머리카락과 음모의 전자현미경과 첨단 분광 장치를 이용, 음모가 머리카락에 비해서 더 두껍고 곱슬한 새로운 가설을 제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한국인 20·30·40대 남성의 머리카락과 동일한 사람의 음모를 비교한 결과 머리카락을 보호하고 있는 큐티클층이 음모의 경우 더 두껍고 단단하게 겹쳐있음을 확인했다.
또 더 많은 큐티클이 만들어낸 형태는 머리카락과는 전혀 다른 배치로 외부에 노출돼 있다고 설명했다.
![]() |
모발의 모식도와 단면 및 내부의 음모와 모발의 비교하는 전자현미경 사진. [사진 = 서강대] |
물리적으로 보강된 큐티클은 오줌과 같은 외부 환경에 더 강화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가정을 검증했다. 또 인공적으로 만든 오줌과 강산과 강염기까지 변화된 환경에서 음모의 큐티클은 모발 내부의 화학적, 물리적 변성을 머리카락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모발 분야 최고의 저널인 ‘Experimental Dermatology지’ 최신호에 게재됐으며, 음모의 내부를 찍은 전자 현미경 사진은 저널의 표지로 소개됐다.
Copyright ⓒ 매일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