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아직 안전하지 않은 사회"…서울서 열린 세월호 10주기 추모 문화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잊은 적 없다…기억 지우기 중단하라"
세월호 이어 이태원…안전사회 촉구
4·16 세대 "행동하겠다고 결심한 4월"


파이낸셜뉴스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도로에서 열린 '4·16기억문화제'에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강명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4·16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피해자를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촉구하는 기억문화제가 서울 시청광장 앞에서 열렸다. 유가족 등 참석자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안전한 사회를 기원했다.

"안전한 사회 만들고 싶다"
세월호참사 10주기 위원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4·16연대)는 지난 13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도로에서 '4·16기억문화제'를 열었다.

문화제에는 주최 측 추산 3000여명이 모였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와 오송 참사 시민대책위원회 등도 문화제에 참석했다.

'세월이 지나도 잊은 적 없다'는 주제로 열린 문화제에서는 "세월호·이태원 참사 국가 책임 인정하고 사과하라", "윤석열 정권은 세월호·이태원 기억 지우기를 중단하라", "국회는 이태원 참사 특별법 즉각 제정하라" 등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날 세월호 유가족들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고(故) 김수진 양의 아버지인 김종기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10년 전 세월호, 2년 전 젊은이들의 억울한 희생을 얘기하지 않더라도 안전하지 않은 사회라고 느끼고 있다"며 "정작 바뀌어야 할 국가는 바뀌지 않고 책무를 다하지 않았다. 10년을 싸웠지만 밝혀야 할 진상규명이 다 되지 않았고 책임자 처벌도 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누가 내일의 희생자, 유가족이 될지 모르는 불완전한 사회를 바꾸고 아이들에게 희망이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의 10년에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었다고 추억하기 위해 끝까지 가자"고 덧붙였다.

이어 이정민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책임자인 해경 지휘부, 청와대 관계자가 모두 무죄를 선고받은 데 이어 이태원 참사 책임자 누구도 책임지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유가족과 시민의 간절한 바람을 짓밟고 특별법을 거부했다"며 "10년 후에도 변하지 않는 대한민국 정부의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참사에 대한 국가 책임을 외면하고 안전 사회를 구축하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대한민국은 10년, 20년 후에도 고통받으며 계속 그렇게 있을 것"이라며 "역할을 못 하는 정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은 국민"이라고 주장했다.

파이낸셜뉴스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13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서 열린 4.16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억문화제에서 참석자들이 희생자 추모 묵념을 하고 있다. 2024.04.13. mangust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년 20년 뒤에도 기억하자“
이날 문화제는 변영주 영화감독이 사회를 맡았다. 가수 루시드폴이 무대에 올라 세월호 추모곡인 '아직, 있다' 등의 노래를 불렀다. 이해식, 김동아, 김윤, 박홍배, 박주민 등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 소속 22대 국회의원 당선인 22명도 문화제에 동참했다.

시민들도 문화제에 참석해 추모에 동참했다. 희생자들을 상징하는 노란색 나비를 붙인 모습이었다.

행사에 참석한 박모씨(40)는 "평소 잊고 지내지만 4월이 되면 세월호가 떠오른다"며 "우리 사회에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오게 됐다"고 전했다.

아울러 참사 당시 고등학생에서 이제는 20대 중·후반이 된 이른바 '세월호 세대'의 발길도 이날 이어졌다.

동서울 시민의힘 회원이자 '4·16 세대'라고 소개한 하제인씨는 발언대에 올라 "4월은 가만히 있으면 안 되는 진실을 본 사회였다. 더 이상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결심한 4월이었다"며 "가만히 있어야 한다는 무력감을 느꼈던 10대들은 20대에 이태원 참사를 겪으며 나와 주변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느꼈다. 더 이상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지 않도록 10년 20년 뒤에도 기억하자"고 말했다.

한편 문화제에 앞서 오후 3시 30분부터는 시민단체들이 부스를 설치하고 사전행사가 열렸다.

unsaid@fnnews.com 강명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