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나이 들면 골다공증? 2030 약골 알고보니 호르몬 탓 [건강한 가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골밀도 검사 바로 알기

척추·고관절·요추 부위 뼈 밀도 측정

골다공증 진단해 골절 위험 등 예측

50세 이상 여성이거나 키 줄면 위험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혈압·혈당처럼 뼈 건강을 점검해볼 수 있는 숫자가 있다. 골밀도 점수다. 뼈가 튼튼한 사람의 골밀도와 비교해 내 뼈 양이 얼마나 줄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골량이 본격적으로 감소하는 중년이면 적극적으로 챙길 필요가 있다. 하지만 뼈 건강을 걱정하면서도 자신의 골밀도 점수를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대한골대사학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50~70대 여성 응답자의 90%는 골다공증 골절이 노후에 위험한 질병임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도 5명 중 4명은 ‘나의 골밀도 수치’를 모른다. 자신의 골밀도를 알고 있는 응답자는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에 더 신경 쓰며 뼈 건강에 도움되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 검사는 척추, 대퇴골(고관절), 요추 부위의 뼈 밀도와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골다공증·골감소증을 진단하고, 골절 위험을 예측한다. 노화로 인해 뼛속을 채우고 있었던 성분들이 소리 없이 빠져나가면 작은 충격에도 뼈가 부러질 수 있는 상태에 이른다. 뼈는 약해져도 눈에 보이지 않는다. 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다.



건강한 남성도 65세부터 검사 필요



검사에서 골밀도 점수가 낮게 나온다면 뼈가 약해 골절에 취약한 상태라는 의미다. 골밀도 T-점수가 -1.0이면 정상인보다 뼈의 양이 10~15% 감소한 것이다. 점수가 1만큼 감소하면 골절 발생 위험은 2~3배 높아진다. 점수가 -2.5 이하면 골다공증으로 진단한다. 대한골대사학회에 따르면 골다공증 위험 인자는 ▶65세 이상 ▶50세 이상 여성 ▶조기 폐경

▶골절 경험 ▶예전보다 키가 줄거나 허리가 굽은 증상이다. 이 중 하나에 해당하면 바로 골밀도 검사를 받고 결과를 상담하길 권한다.

여성에서 폐경은 뼈가 약해지는 주원인이다. 여성호르몬 감소로 인한 골밀도 소실은 마지막 생리의 약 1년 전부터 급속히 진행한다. 폐경 전부터 골밀도 점수의 변화 추이를 보며 골다공증을 예방·관리하는 게 좋다. 결과 해석의 연속성이 중요하므로 동일한 곳에서 지속해서 검사받으면 좋다. 만 54세, 66세 여성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시행하는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골밀도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남성도 골다공증 위험 인자가 있으면 50세 이후부터는 골밀도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 50세 이상 남성 두 명 중 한 명은 뼈에 함유된 칼슘·미네랄 등이 정상 이하로 떨어진 골감소증이다. 골감소증은 골다공증 전 단계다. 골밀도 검사에서 골감소증으로 진단받은 사람 중 가족력·음주·스테로이드·전립샘암 등 골다공증 위험 요인이 있으면 보다 적극적으로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게 좋다. 골다공증 위험 요소가 없는 남성은 65세 이후부터 골밀도 검사를 받으면 된다. 남성 골다공증은 뼈를 공격하는 여러 위험 요소가 쌓이면서 뼈가 서서히 약해지는 게 특징이다.



약물치료 땐 골절 위험 50% 이상 낮춰



천식, 류머티즘 관절염 같은 질환으로 스테로이드를 오래 쓰면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이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엔 젊은 나이여도 골밀도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골밀도 검사는 검사 장비에 5~10분 정도 누워있으면 된다.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고, 검사 후 바로 귀가할 수 있다. 검사에서 사용하는 방사선(X선)량은 자연에 존재하는 수준의 소량이다.

혈압·혈당을 관리하는 것처럼 골밀도 점수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골다공증이어도 약물치료를 잘 받으면 골밀도 점수를 높여 골절 위험을 50% 이상 낮출 수 있다. 한번 골절이 발생하면 연속적으로 골절을 경험할 위험이 커지고, 건강이 도미노처럼 악화한다. ‘골다공증 팩트시트 2023’(대한골대사학회)에 따르면 손목·척추 등에서 골절이 발생했을 때 1년 이내에 또다시 뼈가 부러질 확률은 남성이 4배, 여성은 2배 높아진다.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골밀도 점수를 높이는 데 도움된다. 일상에서 뼈 건강을 관리하는 목적은 나이 들어서 뼈가 급격히 약해지는 속도를 늦추고, 작은 충격에도 뼈가 부러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골밀도는 사춘기 무렵에 급격히 증가하고 20~35세에 최대에 이른다. 이때의 골량을 최대 골량이라고 한다. 최대 골량이 많았던 사람은 이후 골 소실이 비슷한 속도로 일어나도 훨씬 유리하다. 젊을 때부터 영양·운동으로 뼈 건강을 최대한 다져 놓고, 이후 골밀도 검사로 변화 추이를 보며 골다공증을 예방해야 한다.

골량을 결정하는 세 가지는 호르몬·영양·신체 활동이다. 뼈를 튼튼히 하는 영양소인 비타민D는 햇빛을 쐬어야 생성된다. 오전 10시~오후 2시 사이에 하루 10분 이상 야외 활동을 하면 된다. 가볍게 걷는 산책에 더해 체중이 실리는 에어로빅·조깅 같은 운동을 해야 골밀도가 높아진다. 칼슘이 풍부한 멸치 등 뼈째 먹는 생선, 저지방·무지방 우유, 시래기나물 등을 챙겨 먹으면 좋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