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중국 "미국·유럽차에 관세 인상 검토"...관세 복수전 확대 조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측 "대형 배기량 엔진 장착 수입차 관세 인상"
관세 폭탄 던진 미국과 준비 중인 유럽에 보복 시사
미국, "단합하자" 호소, 유럽 "도구 상자 마련 중"
한국일보

지난해 10월 중국 충칭시 남서부 장안자동차 물류센터에 전기차량이 전시돼 있다. 충칭=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미국·유럽산 대형 차량에 대한 관세 인상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미국의 100% 관세 인상 조치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중국산 전기차 누르기' 동참할 조짐이 짙어지자, '맞불 관세' 카드를 내보인 것이다. 미국발(發) 폭탄 관세가 결국 서방과 중국 간 관세 보복전으로 확대될 조짐이다.

22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EU 주재 중국상공회의소는 전날 성명을 통해 "중국 당국이 '대형 배기량 엔진을 장착한 수입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는 내부 정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 인상 발표와 EU가 중국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조사를 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중국의 이 같은 잠재적 조치는 유럽·미국 자동차 기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대형 차량·부품 소재 대상 '맞불 관세' 으름장

한국일보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2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금융경영대학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은 뒤 연설을 하고 있다. 프랑크푸르트=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앞서 14일 중국의 저가 전기차 수출 공세로부터 자국 기업을 보호하겠다며 △전기차 25%→100% △전기차 배터리 7.5%→25% △배터리용 부품 7.5% → 25% 등 중국산 첨단기술 제품·소재에 대한 관세 인상 방침을 발표했다. EU 또한 지난해 10월부터 중국산 전기차 업계를 대상으로 정부 보조금 조사를 진행 중이며 최근 태양광 패널, 풍력터빈, 의료기기 등으로 조사 대상을 확대했다.

아울러 중국 상무부는 19일 "대만·미국·EU·일본산 폴리포름알데히드 혼성중합체(POM)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힌 상태다. 구리, 아연, 주석 등 금속 재료 대체품인 POM은 자동차 부품 생산에 널리 활용되는 제품이다. 중국 측이 내놓은 일련의 발표는 결국 이미 관세 폭탄을 던진 미국과 관세 인상을 준비 중인 유럽의 자동차 업계를 겨냥해 관세 보복을 하겠다는 경고로 풀이된다.

유럽 "중국산 전기차 대비 도구 상자 준비 중"

한국일보

지난달 25일 베이징에서 열린 베이징 오토쇼에서 관람객들이 중국산 전기차를 둘러보고 있다. 베이징=조영빈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유럽을 향해 중국산 전기차에 맞선 '단합'을 호소하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2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가 단합된 방식으로 대응하지 않을 경우 전 세계 기업들의 생존 가능성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저가과잉 생산을 막기 위한 미국의 노력에 유럽도 동참하라는 주문이다.

EU도 일단 호응하고 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21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중국 전기차는 과도한 보조금 혜택을 받고 있다"며 "값싼 중국산 전기차가 유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감시할 수 있는 '도구상자'를 마련 중"이라고 전했다. 단 "(유럽과 미국 간) 접근 방식은 다르다. EU의 도구상자는 미국이 부과한 관세보다 차별적이고 표적화된 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해, 미국의 관세 적용 강도·범위에는 미치지 못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EU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7월 초 관세 인상안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유럽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전기차 시장이다. 유럽으로 수출되는 전기 자동차 중 약 37%가 중국산 제품이다. 미국 컨설팅업체 로디움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유럽이 중국의 전기차 보조금 효과를 상쇄하려면 40~50%의 관세 인상이 필요하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중국의 반발 등을 고려해 이보다 낮은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 peoplepeopl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