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가유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10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광화문 현판 한글화 가능성을 묻는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의 질의에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최 청장은 광화문 현판은 오랜 기간 논의와 고증을 거쳐 나온 결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현재 광화문 현판에 대해 “부도덕한 행태를 했던 사람의 글자, 글자 자체로서도 전혀 상징성이 없는 글자를 고궁의 얼굴 광화문 현판에 걸어놓는 거 자체가 대한민국의 수치”라며 한글 현판으로 교체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에 대해 최 청장은 “새 현판이 갈라지고 재제작에 들어가면서 1865∼68년 당시 중건할 때 걸려있던 한문 현판을 그대로 원형에 가깝게 고증해야 한다는 게 문화재 복원의 원칙에 맞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당시 문화재 위원들, 위원회가 오랫동안 한 끝에 (지금 모습으로) 결론 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동안의 과정과 제작 비용 등을 본다면 (현판 제작을 둘러싼) 다사다난한 과정이 다시 시작되는 것에 반대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충분한 국민적 논의와 의견을 통해 개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은 2005년 초 박정희 전 대통령이 친필로 쓴 한글 현판을 한자 현판으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가 정치권과 한글 단체의 반발에 부딪힌 바 있다. 이후 2010년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한자로 된 현판을 새로 공개했으나 약 3개월 만에 균열이 생긴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여러 차례 전문가 논의와 연구 용역을 거쳐 13년 만에 다시 걸린 게 지금의 현판이다.
지난해 10월 공개한 현판은 검은색 바탕에 금박을 입힌 글자 형태로,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남긴 기록인 ‘영건일기’와 사진 자료를 토대로 제작됐다.
최 청장은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국보급 문화유산인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과 관련해 “상주본의 보관 실태를 어떻게 확인하고 있나”라는 국민의힘 정연욱 의원 질의에 “본인이 공개한 사진 외에 전혀 파악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 청장은 “(이는) 정상적인 소장으로 보기 어렵다”며 “고미술(상)끼리 거래를 통해 흘러들어간 문화재를 1000억원을 달라는 요구부터 시작해 절대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래도 해례본이라는 중요성 때문에 환수를 하고자 모든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반환을 위한) 협상 진척이 안 되고 있다”고 전했다.
상주본은 경북 상주에 거주하는 고서적 수집 판매상이 2008년 서울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국보 ‘훈민정음 해례본’(간송본)과 다른 해례본을 찾아냈다며 일부를 공개해 그 존재가 알려졌다. 그러나 그가 구체적인 소장처를 밝히지 않으면서 10년 넘게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국가유산청은 2012년 5월 원래 소유자였던 골동품 업자 고(故) 조용훈 씨로부터 기증받아 국가 소유권이 인증되는 만큼 상주본 반환을 요청하고 있으나 수년째 뚜렷한 해법 없이 공전 중이다. 최 청장은 압수수색 등 강제 절차를 진행했을 때 반발이 있을 수도 있다며 “중간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세워서 (논의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