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1년 내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 15.4%...주요 리스크는 가계부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2024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
단기 리스크 발생 가능성...10명 중 1명 ‘높다’ 응답
부동산 PF 부실 우려 둔화에 충격 가능성 낮아져
1순위 뇌관은 가계부채...“거시건정성 관리 필요해”


파이낸셜뉴스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1년 내 국내 금융시스템에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꼽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점차 해소되고 지정학적 리스크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진입한 결과다. 다만 가계부채 리스크가 2년 연속으로 국내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 만큼 거시건전성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21일 공개한 '2024년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이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에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단기 충격 발생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매우 높음' 또는 '높음'으로 응답한 비중은 15.4%로, 지난해 하반기(20.8%)과 비교해 5.4%p 낮아졌다.

중기(1~3년)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답변도 하락했다. '매우 높음' 또는 '높음'으로 응답한 비중이 44.2%에서 34.6%로 내렸다. ‘낮음’ 또는 ‘매우 낮음’으로 응답한 비중은 같은 기간 15.6%에서 24.4%로 상승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관한 신뢰도(향후 3년간)에 대해 '매우 높음'이나 '높음'으로 응답한 비중은 40.3%에서 50.0%로 상승했다.

이는 저축은행, 상호금융, 중·소형 증권사, 캐피탈사 등 비은행업권의 취약 요인으로 지목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정책 관리에 힘입어 지난 조사에 비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장기화되며 국내 금융권의 적응도가 높아진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국내 금융시스템의 가장 큰 대내 리스크(단순 응답빈도수 기준)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 부담 증가'(61.5%)가 꼽혔다. 지난해 하반기(70.1%)에 이어 가계부채 리스크가 여전히 주요 리스크로 자리한다는 평가다.

다만 가계부채를 제외한 5개 요인이 신규 리스크로 조사돼 상황인식이 지난 서베이에 비해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 때 리스크로 꼽힌 △높은 금리 수준 지속(55.8%) △기업의 업황 및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 위험 증가(37.7%) △지정학적 리스크(36.4%) △부동산 시장 회복 불확실성(35.1%) △주요국 경기 침체 가능성(35.1%) 등이 모두 사라졌다.

대신 대내 리스크로 ‘내수회복 지연 등으로 인한 국내 경기부진’(51.3%),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39.7%)’ 등이 지목됐다. 대외 리스크는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56.4%), ‘미국의 공급망 재편전략 등 주요국 자국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39.7%) 등이 꼽혔다.

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리스크로는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 국내 경기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가 꼽혔다. 가계부채, 인구구조 변화, 자국우선주의 정책 등과 관련된 리스크는 중기에 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됐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인구구조 변화 △미 대선 이후 정책변화 △주요국 자국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를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과 발생 가능성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요인으로 평가했다. 국내 경기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의 경우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으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요인으로 평가했고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에 대해서는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이 크지만 발생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했다.

이번 서베이는 한은이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8일까지 금융기관, 연구소, 대학, 해외 IB 등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 78명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한은은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2012년부터 연 2회, 올해부터 연 1회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를 실시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