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공학 전환 반대’하자 “여대 거른다”… 민낯 드러낸 여성혐오 [플랫]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덕여대 공학 전환 반대 시위’를 향한 부정적 여론이 학생들에 대한 ‘낙인찍기’와 ‘여성혐오’로 번지고 있다. “여대는 거른다”는 혐오 발언이 대표적이다. 여성들의 집단행동이 나올 때마다 고개를 든 혐오가 반복되는 양상이다. 동덕여대 사태를 빌미로 우리 사회에 내재한 ‘여성혐오·권위주의·갈라치기’의 민낯이 다시 드러났다고 여성계는 지적한다.

경향신문

동덕여자대학교 학생들이 20일 서울 성북구 동덕여자대학교 월곡캠퍼스 운동장에서 학생총회를 열고 남녀공학 전환 반대 안건에 대해 투표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덕여대 학생들의 시위는 ‘공학전환 반대’로 촉발됐는데 엉뚱하게 ‘여대 기피론’이 고개를 들었다. 이우영 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놓고 직원 채용시 동덕여대 출신을 “걸러내고 싶다”고 올리기도 했다.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25일 “동덕여대 학생들을 향한 겁박은 2016년 강남역 살인 사건 당시 여성들이 시위에 나서자 ‘페미니스트는 직장 등에서부터 불이익을 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던 것과 닮아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여대는 편의에 따라 성애적 존재로 ‘신비화’ 되거나 페미니스트로 ‘악마화’ 됐는데 이는 전형적인 여성혐오의 형식”이라고도 말했다.

경향신문

서울 성북구 동덕여자대학교 월곡캠퍼스에 20일 학교측의 남녀공학 전환을 반대에는 문구가 붙어있다. 정효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대 학생을 향한 겁박과 괴롭힘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넥슨 집게손가락 사태’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블라인드에 한 이용자가 “페미(페미니스트) 때문에 우리 부서만 해도 이력서 올라오면 여대는 거른다”라는 글을 올려 논란이 일었다.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고용노동부가 실태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양궁 국가대표 안산 선수가 짧은 머리 스타일을 했다는 이유로 이른바 ‘페미니스트 사상 검증대’에 올랐을 때도 그가 광주여대 출신이라는 이유로 폭언을 쏟아내는 이들이 있었다. 여성에 대한 왜곡된 생각과 여성으로 인해 역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피해의식 등이 혐오로 표출된 사례들이다.

[플랫]뿌리의 ‘집게손가락 음모론’ 설명회, 유저는 한 명도 오지 않았다

[플랫]‘집게손가락’에만 반응하는 넥슨의 ‘선택적’ 사과…온라인서 끊이지 않는 논란

청년을 동등한 대화의 주체로 인정하지 않는 기성세대의 권위주의가 드러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윤김지영 창원대 철학과 교수는 “‘동덕여대는 거르고 싶다’는 공공기관장의 발언이나 학교 기물파손에 대한 손해배상을 하라고 압박하는 동덕여대 학교 측의 태도는 ‘너희가 잘못됐으니까 우리의 모든 권력으로 제재하겠다’는 의미가 읽힌다”며 “‘공학 전환’과 관련한 학생들의 이견을 권위로 틀어막는 행위”라고 분석했다.

과거 사건에서 보였던 ‘갈라치기’ 역시 이번 사태에서 반복됐다. 공학 전환 문제를 반대하고 나선 맥락은 지우고 학생들을 ‘폭력사태 주동자’로 몰면서 편견을 조장하거나 낙인찍기로 논의를 좁혀버리는 방식이다. 이 교수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이번 사건을 ‘젠더 이슈로 보지 않는다’면서 주동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한 데 대해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라고 한 윤 대통령 발언과 똑같은 맥락”이라며 “불평등의 구조 자체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라 말했다. 윤김 교수는 “정치인들이 동덕여대라는 특정 집단에 증오를 투사하며 쾌감을 느끼는 대중을 포퓰리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이예슬 기자 brightpearl@khan.kr · 오동욱 기자 5dong@khan.kr

플랫팀 기자 flat@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