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10월 주담대, 한 달 만에 0.31%p↑...“25개월래 최대폭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2024년 10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주담대 금리, 2022년 9월 이후 최대폭 상승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위해 가산금리 높여
대출금리 확대에 예대금리차, 1월 이후 최대


파이낸셜뉴스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한 달 만에 0.30%p 넘게 뛰면서 25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늘었다.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은행권이 가산금리를 크게 인상한 결과로 주담대 금리는 지난해 1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출금리가 크게 뛰면서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수신금리의 차)도 올 들어 두 번째로 높아졌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4년 10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4.67%로 전월보다 0.05%p 올랐다. 지난 9월(4.62%) 이후 2개월 만에 상승 전환이다.

가계대출 금리는 4.55%로 0.32%p 상승하며 8월(4.08%) 이후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 1월(4.68%)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이자 상승폭으로만 보면 2022년 9월(0.39%)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이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전월보다 0.31%p 오른 4.05%로 집계돼 지난해 12월(4.16%)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마찬가지로 지난 8월(3.51%) 이후 두 달 연속 상승세이며 2022년 9월(0.44%p) 이후 25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주담대에서 고정형 금리는 0.32%p 오른 4.042%를 기록했다. 변동형 금리는 4.14%로 0.06%p 상승했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변동형의 경우 지표금리인 코픽스가 하락했으나 은행권의 가산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금리가 올랐다”며 “고정형 금리는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의 상승폭까지 더해지며 더 큰 폭으로 금리가 상승했다”고 말했다.

주담대 중 고정금리 비중은 89.3%로 전월보다 5.1%p 떨어지며 3개월 연속 주저앉았다. 이에 가계대출 고정금리 비중도 56.8%로 전월보다 8.6%p 하락하며 지난 8월(68.0%) 이후 석 달 연속 하락했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같은 기간 0.21%p 상승한 4.26%로 8월(3.82%) 이후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달 일반신용대출 금리(5.86%)는 전월보다 0.01%p 떨어지며 하락 전환했다. 지표금리인 은행채 1년물 금리가 하락하고 지난달 저신용자 고금리 대출 취급이 늘었던 영향이 소멸된 결과다.

기업대출 금리는 0.06%p 하락한 4.71%로 집계돼 한 달 만에 떨어졌다. 지표금리인 CD 금리가 소폭 하락한 영향이다. 중소기업대출은 0.10%p 하락한 4.64%를 기록했다. 대기업대출도 같은 기간 0.02%p 하락한 4.79%로 나타났다.

예금은행의 수신금리는 0.03%p 하락한 3.37%로 집계됐다. 한 달 만에 하락 전환이다. 순수저축성예금이 0.04%p 하락한 3.37%, 금융채 등 시장형금융상품이 0.02%p 떨어진 3.34%를 기록했다.

예대금리차는 수신금리가 하락하고 대출금리가 상승하면서 전월보다 0.08%p 상승한 1.30%p로 집계됐다. 지난 9월(1.22%p) 이후 2개월 연속 확대된 것으로 지난 1월(1.37%) 이후 최대치다.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는 2.22%로 전월보다 0.02%p 축소됐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수신금리는 저축은행(0.00%p, 3.73%)을 제외하고 신협(-0.07%p, 3.48%), 상호금융(-0.05%p, 3.33%), 새마을금고(-0.06%p, 3.49%) 모두 하락했다. 대출금리의 경우 저축은행(0.28%p, 11.32%), 새마을금고(0.04%p, 4.97%)는 전월보다 올랐으나 신협(-0.18%p, 5.24%), 상호금융(-0.11%p, 5.14%)은 전월 대비 떨어졌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