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파일럿 무인전투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정책 토론회
사고 예방 및 책임소재 규명 위한 기술 개발 필요성도
29일 오후 국회에서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과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하고 항공우주협회가 주관한 '인공지능 파일럿(AI Pilot) 무인전투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국회 정책토론회 현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미래전의 핵심 자산으로 꼽히는 무인 전투기 개발을 위해 정부 차원의 투자 확대와 통합 연구기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과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인공지능(AI) 파일럿 무인전투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포럼의 공동대표를 맡은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은 "현재 대학, 연구소, 방산업체, 정부, 지자체가 인공지능 관련 연구센터를 만들고 있는데 기술적으로 통합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미국에서 공대공 무기 등에 대한 기술 이전을 받기 위한 정부와 국회 차원의 노력, 나아가 대규모 예산이 필요한 만큼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사장은 "AI 파일럿은 사람이 탑승하는 전투기보다 저렴하고 성능은 우수하다"며 "모든 나라가 AI 무인전투기로 선회한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6세대 전투기 개발 무용론이 나올 정도로 AI 파일럿과 무인전투기 개발속도는 빠르다"며 "이 기술은 20, 30년 뒤 우리나라의 최고 먹거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항공우주협회 부회장은 "미국에서도 모든 에너지를 다 모아 인공지능 기반 전투체계를 만들고 있다"며 정부와 유관기관의 협력을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KAI가 제작 중인 4.5세대 전투기 KF-21에 대해 "(앞선 세대인) 라팔 등은 만들어진 지 오래돼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 힘들지만, KF-21은 인공지능 적용, 유·무인, 무·무인 개발이 가능하다"며 KF-21의 강점을 소개했다.
AI 파일럿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기술 개발 필요성도 강조됐다. 김필은 한국항공대 교수는 "사고 발생시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조이상 한성대 교수도 AI가 오류를 발생할 경우 의도치 않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동의했다. 또한 AI 파일럿을 우선 만든 뒤 실험을 진행해 데이터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며 속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포럼 공동대표 서천호 국민의힘 의원은 "로봇 및 인공지능이 장착된 무인기 개발은 미래의 전장 양상을 유인에서 무인 원격 조정, 자율 조정으로 전환 시킬 것"이라며 "작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국가 안보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AI 파일럿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고 했다.
pkb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