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바치=AP/뉴시스] 미국을 급거 방문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30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아주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 사진은 이날 플로리다주 팜비치 델타 호텔 로비에 도착한 트뤼도 총리가 밝은 표정을 짓는 모습. 2024.12.0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당선인은 30일(현지시간) 자신의 SNS(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전날)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의 마러라고 회동은 매우 생산적이었다"고 밝혔다. 트뤼도 총리도 X(엑스)에 사의를 표하며 "우리가 함께 다시 협력하기를 기대한다"는 반응을 냈다.
트뤼도 총리가 마러라고로 날아간 것은 트럼프가 SNS로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한 지 불과 나흘 만으로, 당초 공개일정에 없던 계획이다. 그는 관세 발언 당일에 트럼프와 전화 통화했다. 트럼프는 멕시코(남쪽)와 캐나다(북쪽)에서 들어오는 펜타닐(마약성 진통제)과 불법 이민자 문제를 이유로 들면서, 두 문제를 양국이 해결할 때까지 모든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물겠다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
트럼프는 이번 회동에서 "불법 이민의 결과(불법이민자들의 마약 밀수 관여를 의미)로 수많은 생명을 앗아간 펜타닐과 마약 위기, 캐나다와의 무역 적자 등 중요한 주제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모두 제가 집권한 첫날과 그 전에 다룰 중요한 문제들"이라며 "트뤼도 총리는 (마약류에 의한) 이 끔찍한 미국 가정 파괴를 끝내는 데 우리와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관세 인상 여부를 논의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18일 (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을 하고 있다. 2024.11.19 /AFPBBNews=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멕시코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난 27일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 당선인에 전화 걸었으며, 이후 "캐러밴(대규모 이주민 행렬)들은 멕시코 관리하에 있고 대부분 미국과의 국경까지 도달하지 못했다는 점을 당선인과 공유했다"고 전했다. 또 "또 펜타닐을 막기 위해 멕시코에서 벌이는 캠페인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눴다"고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30일 그는 기자들에게 미국과 관세 문제에 대한 합의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나라뿐 아니라 중국과 유럽연합(EU)의 발 빠른 태세 전환도 감지된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EU는 보복이 아닌 협상을 해야 한다"며 "트럼프 당선인과 협력하고, 미국산 제품을 더 많이 사라"고 말했다. 트럼프가 이번에 '추가 관세 10%'까지 언급한 상대인 중국은 조심스러운 가운데, 추후 협상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는 30일 '관세 엄포' 전선을 브릭스(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등 9개국 협의체)까지 넓혔다. 그는 이날 트루스소셜에 "브릭스 국가들이 새로운 브릭스 통화를 만들거나, 달러를 대체할 다른 통화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약속이 필요하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이들은 100% 관세를 맞게 되고, 멋진 미국 경제에 물건을 파는 것과의 작별을 생각해야 한다"고 위협했다. 그는 "브릭스가 국제 무역에서 달러를 대체할 수는 없으며, 그런 시도를 하는 나라는 미국과 작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중국 중심으로 다극체제를 추진하는 브릭스는 달러 의존도를 낮추려 한다. 지난해 회의에서는 탈달러에 대해 논의했으며, 회원국 간 자국 통화 사용을 늘리려고 한다. 전쟁으로 금융 제재를 받은 러시아와 위안화 국제화를 노리는 중국의 입장이 서로 맞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의 정치적 특성"이라며 "멕시코와 캐나다로 하여금 그간 미국과의 관계, 그리고 서로간의 관계를 재검토하도록 강요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확실히 높은 수준의 조직력을 보여준다"며 "캐나다와 멕시코가 국가 운명이 미국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빨리 깨우치도록 자극하고, 관계를 잘 유지하도록 노력을 더 해야 한다고 일깨워 주기 위함"이라고 평가했다. BBC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도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상 전략으로 (관세) 위협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2기 행정부가 실제로 관세 인상을 실행할지는 여부는 불확실한 상태"라고 짚었다.
김하늬 기자 hone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