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1 (일)

빅테크 '韓 패싱'···멀어지는 亞 IDC 허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규제·님비에 日·동남아 선회

분산에너지법에 수도권 건립 막혀

주민 반발로 수용성 확보 쉽잖아

아마존 유치 후 1년째 투자 끊겨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이 글로벌 데이터센터(IDC) 시장에서 주변국으로 밀려날 상황에 처했다. IDC를 혐오 시설로 여기는 인식 때문에 주민 수용성 확보가 쉽지 않고 전력 수급 불균형과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 규제가 복합적으로 맞물리면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에 IDC를 확충하려는 글로벌 빅테크들이 일본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방향을 틀고 있어서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에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IDC 투자에서 소외될 경우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경쟁력 약화는 물론 데이터 주권 상실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관련 시리즈 3면

1일 관련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지난해 10월 인천 서구에 총 7조 8000억 원을 투자해 자체 IDC를 짓기로 발표한 뒤 1년째 글로벌 빅테크의 투자 소식이 끊겼다. 대신 빅테크들의 발길은 동남아시아와 중동으로 향하고 있다. 지난달 구글은 태국에 1조 3000억 원을 투자해 클라우드·AI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고 MS도 인도네시아·아랍에미리트 IDC 건립 계획을 내놨다. 아마존 역시 싱가포르에 12조 원에 달하는 투자를 결정했다.

빅테크들의 IDC 투자에서 ‘코리아 패싱’이 나타나는 요인으로는 규제가 첫 손가락에 꼽힌다. 국내 기업은 물론 빅테크들은 인프라가 뛰어나고 수요가 많은 수도권을 IDC 입지로 선호하지만 6월부터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전력 수급 문제로 인해 수도권에서는 사실상 허가를 받기 어려워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주민 수용성 확보도 쉽지 않다. IDC는 여전히 전자파·소음·열섬 등을 발생시키는 ‘님비 시설’로 인식되고 있다.

나연묵 단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데이터센터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건축해야 하고 열섬 현상도 일반 건물과 다름없는데 혐오 시설로 취급하는 건 한국이 유일하다”며 “오해를 불식시키고 전력 자급과 송전 제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종호 기자 joist1894@sedaily.com류석 기자 ryupr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