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국회 긴급 현안질문
조태열 “재외공관 단어 적혀…서너 줄”
최상목 “재정자금·유동성 확보하란 내용”
야당 “윤 대통령, 계엄 금방 끝낼 생각 아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3일 국회 본회의 비상계엄 긴급 현안질문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조치 내용을 사전에 일부 국무위원에게 전달한 것으로 13일 파악됐다. 윤 대통령이 계엄을 미리 치밀히 준비했고 계엄 상황을 장기간 유지할 의도가 있었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정황이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비상계엄 사태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윤 대통령이 지난 3일 오후 9시쯤 대통령 집무실에서 계엄 이후 “외교부 장관이 조치할 간략한 몇 가지 지시 사항이 담긴 종이 한장을 줬다”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구체적인 문건 내용을 두고 “재외공관이란 단어만 생각난다. 상세한 게 아니고 서너 줄 정도”라며 “재외공관에서 일반적으로 이런 상황(계엄)이 있으면 했을 조치라고 생각하고 그 자리에 내려 놓았다”고 말했다.
문건에는 계엄 선포 이후 재외공관이 해당 국가에 계엄의 정당성 등을 전달하라는 내용이 담겼을 가능성이 있다. 국군기무사령부(현 국군방첩사령부)가 2017년 작성한 계엄 검토 문건에도 “주한 미·중 대사 등 주요국 대상 현 소요사태 관련 계엄 당위성 설명”, “주요 국가 주한사절단(기자·기업인 포함)을 초청해 계엄 시행을 지지토록 요청” 등 대외 대응방안이 담겼다.
조 장관은 지난 3일 당시 계엄을 선포하려는 윤 대통령에게 “외교적 파장뿐 아니라 대한민국이 70여년 동안 쌓아온 성취를 한꺼번에 무너뜨릴 수 있는 사안이니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이건 나의 판단에서 하는 것”이라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고 조 장관은 전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담화에서 거대 야당으로 인해 “망국적 국정 마비 상황”과 “행정·사법의 국가기능 붕괴 상태”가 초래됐다며 계엄 발동을 정당화했다.
조 장관은 당시 대통령 집무실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함께 있었다고 했다. 조 장관은 10여분 뒤 집무실을 나온 이후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도 집무실에 들어갔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최 부총리도 지난 3일 밤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발표를 마친 뒤, 자신에게 반으로 접은 종이 한 장을 줬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윤 대통령 옆에 있는 누군가가 자료를 줬다”라며 “경황이 없어서 (4일) 오전 1시부터 시작한 간부 회의가 끝날 때쯤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문서 내용을 두고 “기억하기로는 비상계엄 상황에서 재정자금과 유동성을 잘 확보하라 정도였다”라며 “한두 개 정도 써 있었다”라고 했다. 최 부총리는 이를 폐기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 대통령이 국회를 향한 경고성 계엄을 한 것이라면, 이렇게 순차적·체계적으로 계엄 이후 경제와 외교와 관련한 지시 사항이 담긴 문건을 줄 리가 만무하다”라며 “윤 대통령은 계엄을 금방 끝낼 생각이 아니었다”라고 주장했다. 고 의원이 “계엄 이후 국정을 어떻게 하라는 문서들들 아닌가”라고 질문하자 한 총리는 “대통령이 직접 준 것이라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다”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담화에서 “도대체 2시간짜리 내란이라는 것이 있나”라며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을 알려 이를 멈추도록 경고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희완 기자 roses@kyunghyang.com, 탁지영 기자 g0g0@kyunghyang.com,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해제, 탄핵 순간 사라진 국회의원은 누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