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내란 수괴'가 대통령직…탄핵으로 무질서 하나 정리"
한국노총 "국민의 뜻·분노 반영된 결과…심판대 세워 단죄해야"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재표결이 가결된 14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내란수괴 윤석열 즉각탄핵' 범국민 촛불대행진에서 시민들이 기뻐하고 있다. 2024.12.14. jhope@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1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데 대해 양대 노총이 "이제 시작일 뿐"이라며 "내란 공범까지 단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가결된 데 대해 "매일 국회 앞에 모여 윤석열 탄핵, 국민의힘 해체를 외친 수만 수십만의 시민들 덕분"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내란 수괴가 대통령직에 똬리 틀고 앉아 있었다"며 "국가 기관인 경찰이 압수수색 영장을 들고 가도 국가 기관인 대통령 경호처가 막고 있었다. 혼란과 무질서뿐이었다"고 했다.
이어 "탄핵으로 무질서 하나가 정리됐다"면서도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했다.
민주노총은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결정이 남아 있다"며 "내란 수괴 윤석열을 바로 체포하고 구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내란을 사전 모의하고 방조한 국민의힘 추경호 전 원내대표를 내란 가담자로 수사하고 국민의힘 정당 해산 신청 절차를 준비해야 한다"며 "내란 공범들을 색출하고 그 죄를 밝혀야 한다"고 했다.
민주노총은 "탄핵이 끝이 아니다"며 "노조법 2·3조 개정, 5인 미만 사업장까지 근로기준법 적용 등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이 보장되는 사회를 열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일하다 죽지 않는 세상, 의료·돌봄·교육·교통·주거·에너지 공공성이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반헌법적 비상계엄을 막아내고, 내란범 윤석열 탄핵의 광장을 열어낸 노동자 시민의 힘으로 사회대개혁을 실현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재표결이 가결된 14일 오후 대구 중구 CGV 대구한일 앞 도로에서 열린 ‘윤석열 퇴진! 대구시국대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기뻐하고 있다. 2024.12.14. lmy@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가결된 데 대해 "내란 죄를 저지른 자를 대통령의 자리에 한시도 둘 수 없다는 국민의 뜻과 분노가 반영된 당연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한국노총은 "탄핵을 확정지을 헌법재판소 판결 뿐만 아니라 흔들린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한단계 도약하기 위한 많은 과제들이 우리 앞에 남겨졌다"며 "내란 범죄자들과 그 공범들은 법의 심판대 뿐만이 아니라, 역사의 심판대, 민심의 심판대에 세워 단죄하여 다시는 이런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권력자와 권력기관에 과도하게 부여된 권력을 빼앗고, 국민의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해야 한다"며 "오늘 국회 탄핵은 그 시작일 뿐"이라고 했다.
한편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은 이날 오후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찬선 204표, 반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로 가결됐다.
국회로부터 탄핵소추 의결서를 전달 받는 순간부터 윤 대통령의 직무는 즉시 정지되며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맡게 된다. 헌법재판소는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서를 접수한 날로부터 180일 이내 탄핵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재표결이 통과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통과 촉구 집회에서 기뻐하고 있다. 2024.12.14. ks@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