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1 (수)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사고기, 최근 48시간 동안 13차례 운항…제주항공 “기체 이상징후 없었다”[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군 장병들이 사고 현장을 수색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도중 추락한 제주항공 여객기가 사고 전 48시간 동안 8개 공항을 오가며 13차례 운항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항공기는 사고 발생 이틀 전 기내 환자 발생으로 회항하며 운항 일정이 지연돼 공항 체류시간이 기존보다도 더 줄었다. 제주항공은 통상적인 수준의 운항 스케줄이라며 해당 항공기가 정상적으로 정비를 받았고, 기체 이상 징후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비행 데이터를 추적하는 항공전문 사이트 플라이트어웨어에 기록된 사고기(등록번호 HL8088)의 운항이력을 보면, 사고기는 최근 48시간 동안 무안·제주·인천공항과 중국 베이징, 대만 타이베이, 태국 방콕, 일본 나가사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등을 오가며 모두 13차례 운항했다. 공항 체류시간도 대체로 1시간 내외로 짧았다.

특히 이 항공기는 사고 이틀 전인 27일 제주에서 베이징으로 향하던 중 기내에 환자가 발생해 인천공항으로 회항했다가 다시 베이징으로 출발했는데, 이 과정에서 베이징 도착이 약 3시간가량 지연됐다. 이후 항공편이 연쇄 지연되며 해당 항공기가 공항에 체류하는 시간은 당초 일정보다도 더 짧아졌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항공기는 27일 저녁 제주공항에서 무안공항으로 운항한 뒤 2시간 동안 무안에 체류하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로 떠날 예정이었는데, 연쇄 지연으로 무안공항 체류 시간이 예정 시간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53분으로 줄었다. 항공기는 이착륙 때마다 기체 주요 부분을 육안으로 점검하고 문제가 없는지 살피는 과정을 거치는데, 체류 시간이 줄어들면 정비 등에 소요할 시간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저비용항공사(LCC)는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공항 체류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제주항공의 여객기 가동 시간은 타 LCC와 비교해도 긴 편이다. 제주항공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제주항공의 여객기 월평균 가동 시간(총 비행시간을 운영 항공기 대수로 나눈 값)은 430시간으로 국내 LCC 가운데 가장 길다.

제주항공은 사고 항공기의 운항 스케줄이 통상적 수준이었다며 항공기 정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경훈 제주항공 경영지원본부장은 이날 오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무리한 운항이라고 할 수는 절대 없다”며 “계획된 일정에 맞춰 항공기 정비를 한 치의 소홀함 없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항공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해당 항공기가 출발·도착 전 점검과 24시간 점검을 완료했으며, 기체 이상 징후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항공기는 2년 전인 2022년 11월 오사카 간사이공항에서도 새떼 충돌(버드 스트라이크)로 회항한 전력이 있다. 당시 직장인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 자신이 제주항공 직원이라고 밝힌 인물이 “본사가 엔진 고장을 새떼 충돌로 은폐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이번 사고와 간사이 회항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질문에 “전혀 관련 없는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7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제주항공으로부터 사고 여객기의 정비 기록도 제출받아 검토 중”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사고 여객기의 고장 기록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확인이 되지 않았다”며 “미국 제조사와 당국이 국내에서 합동 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했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