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6 (수)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폼페이 최후의 날’ 훼손된 파피루스…AI로 2000년 만에 읽다 [핵잼 사이언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파피루스 두루마리 PHerc.172의 일부를 엑스레이로 스캔한 것. Vesuvius Challenge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대도시 폼페이를 파괴한 화산폭발로 훼손된 고대 파피루스(고대 이집트 종이) 두루마리가 인공지능(AI)의 도움으로 그 속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AP통신 등 외신은 6일(현지시간) 헤르클라네움의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담긴 글을 해독하려는 시도가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다고 보도했다.

지금으로부터 약 2000년 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화려했던 이탈리아 나폴리 인근의 고대 로마 도시 폼페이가 최후를 맞았다. 헤르클라네움은 폼페이의 인근 도시로 역시 함께 파묻혔는데, 1750년 이곳에 위치한 호화로운 저택에서 수백 개의 파피루스 두루마리가 발굴됐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수많은 정보와 지혜가 집대성 돼 있을 것으로 보이는 파피루스 두루마리는 그러나 열어 읽을 수가 없었다. 화산 폭발 당시 화산재 열에 그을린 데다 2000년 동안 추가로 손상을 입어 바스러지기 쉬운 상태였던 것.

서울신문

헤르클라네움 저택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두루마리. Vesuvius Challenge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학자들과 과학자들은 파피루스 두루마리의 안을 들여다보기 위한 연구를 250년 동안이나 이어왔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2023년 상금 70만 달러를 내건 ‘베수비오 챌린지’(Vesuvius Challenge)가 열리면서 다양한 과학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AI는 물론 X선 스캐닝, 잉크 감지 소프트웨어 등 현대 기술이 총 동원돼 파피루스를 가상으로 펼쳐내기 시작한 것.

보도에 따르면 이번에 디지털 복원된 파피루스 두루마리는 ‘PHerc. 172’라는 이름으로 옥스퍼드 보들리안 도서관에 소장된 세 두루마리 중 하나다. 방법은 싱크로트론이라는 입자가속기를 이용해 매우 강력한 엑스선을 생성한 후 AI를 사용해 이미지를 조각하고, 글자가 있는 곳을 보여주는 잉크를 찾고, 텍스트의 선명도를 높였다. 이 과정을 통해 두루마리의 3D 이미지가 만들어졌다. 다만 아직까지 텍스트 대부분 해독되지 않았으며, 밝혀진 단어 중 일부는 혼란, 혐오, 동요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였다.

서울신문

파피루스 두루마리의 내부 모습. Vesuvius Challenge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들리안 도서관장 리처드 오벤든은 “헤르클라네움 두루마리에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학자들의 심오한 철학적, 문학적 텍스트가 담겨있다”면서 “현 시대 전문가들이 협력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것은 역사상 놀라운 업적”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 갈길은 많이 남아있다. 이미징의 품질을 높여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이고 이를 해독하는 긴 작업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베수비오 챌린지의 공동 창립자인 켄터키 대학교 컴퓨터 과학자 브렌트 실스는 “두루마리 내용을 전부 읽을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와 AI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종익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