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10 (목)

지자체,신안산선 안전 시공 팔걷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명시를 비롯한 경기 남부 5개 지방자치단체가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 이후 시민 안전과 투명한 시공을 촉구하기 위해 힘을 모았다. 이들은 신안산선이 통과하는 해당 지자체가 단순한 협력자가 아닌, 안전 시공의 당사자로서 제도적 역할을 강화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신안산선은 경기 안산시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수도권 서남부를 잇는 길이 44.9㎞의 광역철도 노선이다. 고속철도(KTX) 광명역 접근성을 높이고 포화 상태인 경부선의 수요를 분담하는 민영철도다. 1994년에 계획이 확정됐지만 외환 위기 등으로 지연되다가 21년이 지난 2019년 9월에야 착공했다. 사업비는 3조3500억원 규모다.

16일 광명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광명시청에서 열린 '신안산선 통과 지자체 공동 대응 건의문' 서명식에는 광명시(박승원 시장), 화성시, 안산시, 안양시, 시흥시 등 5개 지자체장이 참석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 해소와 공사의 안전한 추진을 위한 다섯 가지 핵심 요구 사항을 담은 공동 건의문을 발표하고 서명했다.

건의문은 신안산선 공사 관련 기관·업체인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시공사와 시행사에 전달했다.

이번 공동 대응은 최근 신안산선 공사 중 발생한 붕괴 사고로 인해 인명 피해와 주민 불편이 커지는 가운데,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에 대해 국가 차원의 보다 강력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사고는 단순한 공사 문제가 아닌 시민의 생명과 일상에 직결된 중대한 사안"이라며 "국가와 지방정부가 함께 협력해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