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악재에도 정책 모멘텀에 ‘고고’
상법 개정안 재발의 등 투자자 기대감
상장기업 시총도 2472조 ‘역대 최고치’
외국인 5월 이후 6조 순매수 지수 견인
유동성이 이끈 文정부 활황장과는 차이
증권가 “상승세 지속… 최고 3150 전망
오천피 실현, 기업 성장·수익 담보돼야”
![]() |
지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일 대비 44.10포인트(1.48%) 상승한 3,021.84를 나타내고 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3000선을 마지막으로 넘긴 건 지난 2021년 12월 28일(3020.24) 이후 3년 6개월여 만이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일 코스피지수는 전 영업일 대비 1.48% 오른 3021.84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지수가 3000을 뚫은 것은 2021년 12월28일 이후 처음이다. 코스피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2472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만 25.94% 올라 주요 32개국 42개 지수 가운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8월 이후 40조원 가까이 팔아치우던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달 이후 6조원 순매수한 데 이어 이날도 5564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 제거와 새 정부의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기대가 맞물린 영향이다. 지금까지 국내 증시는 대주주 중심의 지배구조와 자본시장 유동성 경직, 산업 경쟁력 저하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저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국회에선 상법 개정안이 재발의돼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증시 전반으로 유입되고 있다. 상법 개정을 통해 이사의 충실 의무를 주주로 확대하면 쪼개기·중복 상장 같은 소액주주 피해를 막을 수 있고, 자사주 소각과 배당소득 분리과세로 투자자들의 수익률도 높아질 수 있다.
이번 코스피 3000 재탈환은 사상 최고치인 3305를 기록했던 2021년 문재인정부 당시와는 차이가 있다. 2021년 당시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유동성이 급증하면서 코스피지수도 올라갔지만, 올해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새 정부의 증시 활성화 정책 기대감 등 내부 요인의 영향이 크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수급 주체도 다르다. 2021년엔 이른바 ‘동학개미 운동’으로 개인의 매수세가 두드러졌다. 당시 거래대금 중 개인 비율은 69%에 달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개인 비율은 48.7%로 줄어든 반면 외국인과 기관 비율은 각각 31.8%, 18%로 늘어나 기관과 외국인이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이처럼 ‘허니문 랠리’(정권 출범 후 증시 강세) 기대감이 팽배하면서 이번 코스피 3000 재탈환 이후 한국 증시는 한동안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에도 대통령 선거 이후 한 달간 주가지수는 평균 3∼4% 상승했고, 1년 후 14∼16% 올랐다. 국내 증권사가 제시한 코스피지수 전망 최대치는 △IBK투자증권 3100 △NH투자증권 3100 △LS증권 3200 △대신증권 3150 △유진투자증권 3050 △하나증권 3100 △한국투자증권 3150 등이다.
이제 시장의 눈은 이 대통령이 언급한 ‘코스피 5000’에 쏠린다. 다만 ‘코스피 5000’을 이루기 위해선 소액주주 권익 보호와 지배구조 개선 같은 정책적인 수단을 넘어 기업의 성장과 수익이 담보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임원은 “상법 개정 등 정책이 단기적 효과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투자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규제 개혁과 기업의 자유로운 경영 확대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