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외기냉방으로 연간 3천478만9천kWh 절감
국내 IDC는 여러 서버가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체 건물 중 9.6%에 달하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이는 아파트, 상용건물에 이어 세 번째에 달한다.
지난 1999년 국내 최초 IDC인 논현 IDC를 개소한 LG유플러스는 2015년 아시아 단일 IDC 최대 규모 평촌메가센터 등 전국에 10여 곳에 IDC를 운영하고 있다.
![]() |
외기를 활용한 전산실 냉방. (사진=LG유플러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19년부터는 외부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바깥 공기를 전산실로 끌어들이는 외기 냉방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는 연간 3천478만9천kWh(킬로와트시)를 절감하고 있다. 이산화탄소배출량으로는 약 1만5천982톤이며, 30년생 소나무 242만그루를 심은 효과와 같다.
또한 평촌메가센터에서는 전산실 내부의 기온를 낮추기 위한 수냉장비인 냉동기가 만들어내는 냉수의 온도를 상향해 약 8%의 운전 전력을 절감하고, 냉각수 비상배관을 활용한 최적 운전법을 도입하는 등 에너지 절감 조치를 통해 냉동기 2대 분량, 연간 약 435만3천kWh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이산화탄소배출량으로는 약 2천톤, 30년생 소나무 30만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다.
이 밖에도 LG유플러스는 IDC 건물 내 LED 센서 설치, 냉동기 냉수 펌프 회전속도 최적화, 냉각탑 팬 운전속도 자동제어 등을 도입하는 등 연간 248만1천kWh를 절감하고 있다. 이는 소나무 약 17만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오는 2023년 3분기에는 연면적 4만450㎡, 축구장 6개 너비의 신규 하이퍼스케일급 IDC '평촌2센터'를 준공할 예정이다.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은 "LG유플러스가 고객의 일상에 다가가기 위해 꼭 필요한 IDC가 친환경 경영에도 기여할 수 있어 더욱 가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디지털 혁신기업으로서 고객의 경험을 혁신하기 위해 LG유플러스의 인프라를 ESG 경영에 부합하도록 업그레이드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준혁 기자(junhyuk@zdnet.co.kr)
<© 메가뉴스 & ZDNET, A RED VENTURES COMPANY,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