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총장 김무환)은 이종람 신소재공학과 교수·통합과정 조원석 씨가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비스무트(Bi) 촉매의 이종접합계면에서 생기는 응력이 이산화탄소 환원 효율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8일 밝혔다.
![]() |
친환경 화합물 포름산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연구팀. 왼쪽부터 이종람 포스텍 교수, 장호원 서울대 교수, 포스텍 통합과정 조원석 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은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탄산염 수용액을 이용해 이뤄진다. 대부분 금속 물질로 만들어지는 촉매들은 수용액과 닿으면 일부가 산화물 또는 수화물로 바뀌기 마련이다. 금속과 금속-산화물이 뒤섞인 이종 접합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간 이종 접합 구조가 이산화탄소 환원 효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했다.
![]() |
이종접합 비스무트 촉매 개념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비스무트 촉매가 탄산염 수용액 상에서 쉽게 꽃잎 모양의 금속-산화물 옥시탄산 비스무트로 바뀜을 확인했다. 이산화탄소 환원을 위해 이 물질에 일정한 에너지를 가하면 꽃잎 모양은 유지하되, 다시 금속으로 되돌아간다. 이때 금속-산화물 일부가 남아 금속과 이종 접합 계면을 형성한다.
연구 결과, 결정 상수(lattice constant)가 서로 다른 두 물질의 계면에서 생기는 응력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포름산으로 전환하는 효율이 한층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가공, 보존제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는 포름산은 수소를 저장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어, 탄소중립의 '열쇠'로 여겨진다. 환원 과정에서 생기는 산화 반응과 촉매 효율의 상관관계를 밝힌 이번 연구는 향후 다양한 촉매를 설계할 때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람 교수는 “그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이종 접합 구조와 이산화탄소 환원 효율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뜻깊은 성과”라며 “이산화탄소로 인해 일어난 다양한 생태적 문제를 해결하고 향후 탄소중립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에너지 앤 인바이러먼털 머터리얼즈(Energy & Environmental Materials)'에 발표됐다.
포항=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