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의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최근 대통령 고유 권한인 사면권 행사를 놓고 본격적인 실무 검토 작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현재는 역대 정부의 집권 초, 연말연시 사면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다.
![]()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베르디무하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상원의장을 접견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사면의 핵심 포인트는 ‘정치인 핏셋 사면’ 여부다. 윤 대통령이 지난 8월 취임 후 첫 광복절 특별사면을 단행하면서 민생·경제에 방점을 뒀던 만큼, 이번에는 국민 대통합 기조 속에 정치인 사면에 무게를 둘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첫 사면 때처럼 기준을 정해 일괄적으로 사면하는 방식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지난 광복절 때 주요 특별사면 대상에 대한 검토를 마쳤기 때문에 이번에 특별사면을 단행한다면, 그 내용을 토대로 전격적으로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사면 대상으론 이명박(MB) 전 대통령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먼저 거론된다. 뇌물 혐의 등으로 징역 17년형이 확정된 MB가 만기 출소하는 시점은 41년생인 그의 나이 95세가 되는 2036년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월 이에 관한 질문에 “과거 전례에 비추어 이십몇 년을 수감 생활하게 하는 건 안 맞지 않느냐”고 말했다.
야권에서 사면을 꾸준히 요구해온 김 전 지사도 국민 통합 차원에서 사면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으로 지난해 7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 형이 확정돼 복역 중인 김 전 지사는 2023년 5월에 형이 끝난다. 내년 상반기 출소 예정이라 사면의 의미가 크진 않지만, 이를 계기로 복권까지 된다면 바로 정치 재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 전 지사는 2028년 5월까지 피선거권이 제한돼 있다.
다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측근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란 점이 변수로 꼽힌다. 김 전 지사는 자타공인 문재인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복권까지 이뤄질 경우 당장 친문·비명계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야권 일각에서 “내분을 유도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는 등 셈법이 복잡한 까닭에 윤 대통령이 어떤 결단을 내릴지는 알 수 없다. 이와 함께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와 전병헌 전 민주당 의원 등 다른 여야 정치인이나, 지난 1월 대법원에서 징역 4년의 실형이 확정된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가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될지도 관심사다.
![]()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일론 머스크 미국 테슬라 CEO와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사면권은 헌법상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만큼 윤 대통령이 막판까지 고민하다가 사면 자체를 하지 않거나, 예상과 다른 결정을 할 가능성도 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정무파트에선 특별사면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실무를 맡는 법률·법무 쪽에선 엄격하게 접근하려는 분위기”라며 “12월 초·중순쯤 내부 보고를 통해 윤 대통령이 가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로, 그 전에 속단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현일훈·박태인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