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1인당 평균 대출액 3년 새 23.9% 증가…파산 비율도 늘어
“무리한 대출과 투자가 문제…취업과 소득이 개선 안될 경우 청년층 대출 더 악화될 것”
![]() |
은행이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상품 판매를 잠정 중단하거나 나이 제한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23일 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 금리 안내 현수막이 걸려있다. 금융 당국은 50년 만기 주담대가 DSR 규제를 우회해 가계부채를 늘리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보고 DSR 산정이 적정했는지 살핀 뒤 제도 개선이 필요하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국은 50년 만기 주담대와 관련해 가입 연령 제한 등 가이드라인을 검토하고 발표 여부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3.8.23/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재찬 기자 = 빚을 갚지 못하고 파산을 선언하는 2030세대가 늘고 있다.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은 비대면 대출로 시작된 빚이 계속 불어나면서 저축은행·카드론 등 제2 금융권의 고금리 대출도 손대기 시작하다 결국 상환능력이 부족해 청년층이 ‘빚 갚기’를 포기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0대 이하 대출 잔액은 지난해 은행권 354조8000억원과 2금융권 159조7000억원 등 총 514조50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3년 전인 2019년 404조원과 비교하면 27.4% 급증한 수치다. .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의 1인 평균 은행권 대출액은 7081만8000원으로 3년 전 5980만6000원 대비 18.4% 늘었다. 같은 기간 제2 금융권의 30대 이하 1인 평균 대출액은 5413만6000원으로 32.0% 뛰었다.
2030세대의 대출 증가세도 다른 연령층 보다 앞섰다. 지난 3년 사이 은행권과 2금융권을 합친 대출 잔액 증가율은 50대 2.3%, 40대 9.2%, 60대 이상 25.5%다. 30대 이하의 증가율은 27.4%로 가장 높다. 청년층의 1인당 평균 대출액 증가 폭도 가장 크다. 30대 이하의 경우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한 1인당 평균 대출액이 3년 새 23.9% 증가했다. 이는 40대(13.3%), 50대(4.0%), 60대 이상(2.6%)을 크게 웃돌았다.
한은도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대출 중 30대 이하 차주 가계대출의 비중이 과거에 비해 높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2013~2019년중 취급된 가계대출은 30대 이하 차주의 대출이 전체의 29.6%였지만 2020~2021년 중 취급된 가계대출의 경우 이들의 비중이 38.3%로 확대됐다.
한은은 올해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2030세대 차주들의 소득기반이 여타 연령에 비해 다소 취약한 만큼, 30대 이하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예상보다 높게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실제 2030 청년층은 빚 갚기를 포기하는 ‘파산선언’도 늘고 있다. 올해 7월 기준 신용회복 채무조정을 신청한 2030세대는 3만7768명이고, 같은 기간 신용회복 채무 재조정을 신청한 2030세대도 2만5588명으로 나타났다. 둘을 합한 전체 2030세대 채무조정은 6만3356명으로 전체 신청 건 19만7121명의 32%에 달한다.
2030세대는 유행처럼 번졌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 등 부동산, 주식, 가상화폐 등 투자열풍에 휩쓸려 빚을 내 투자에 나섰다. 시작은 상대적으로 쉽게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인터넷뱅크 생활비 대출’ 등이었지만 이후 신용대출, 담보대출 등으로 대출잔액을 늘렸고 결국 더 큰 돈을 마련하기 위해 제 2금융권의 고금리 대출까지 손을 대는 실정이다.
금융권에서는 낮은 대출 문턱이 문제였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모바일 또는 인터넷에서 클릭 몇 번만으로 적게는 수십만원부터 크게는 수천만원까지 쉽게 돈을 빌릴 수 있다 보니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2030세대가 무분별하게 돈을 빌렸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무리한 대출과 투자가 문제였고 취업과 소득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청년층의 대출 연체는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취업, 원리금 감면, 장기 대출 전환 등 중장기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jcp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