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크리스마스 '성지'로 불리는 곳들이 있습니다. 예술 작품 같은 화려한 장식을 배경으로 사진 찍으려는 사람들이 몰리는데요. 이 장식을 1년 내내 준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우섭 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매일 오후 5시 반, 무대의 막이 열립니다.
피아노에서 자라난 나무가 꽃잎을 뿌리고 다시 밤하늘의 빛으로 피어납니다.
[안주영/신세계 비주얼팀 부장 : 매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1년 동안 열심히 살아오신 고객분들께 기대하는 마음, 설레는 마음을 드리고 싶고요. 가서 꼭 봐야 하는 크리스마스 명소가 되고 싶습니다.]
SNS에는 이곳을 배경으로 한 사진들이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시작한 이번 프로젝트에는 프랑스 디자이너들이 함께했습니다.
11m 높이의 트리와 좁은 골목들로 이어진 16개의 아기자기한 상점들.
6천 개의 조명이 들어간 이곳은 피카소와 모네가 자주 가던 파리의 한 카페를 모티브로 만들어졌습니다.
[김현아·정채미/경기도 시흥 : 에스컬레이터 타고 올라올 때 좀 보였을 때부터 예뻐서 깜짝 놀랐고요. 작년보다 훨씬 스케일이 커진 것 같아서….]
[정민규/현대백화점 아트디렉터 : 저희가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직전에 유럽으로 출장을 갑니다. 세계에서 어떻게 크리스마스 연출을 했는지를 확인한 다음에 1월에 아이디어 3개를 가지고 발전시켜 8월부터 제작에 들어가서 11월에 오픈을 하게 됩니다.]
세계적인 트렌드를 파악해 창의적인 예술 작품 같은 크리스마스 장식을 탄생시키는 데 꼬박 1년이 걸리는 겁니다.
[박제성/서울대 미술대학 교수 :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항상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이 예술이기 때문에 아티스트들의 창의력이 맞물려서 세계적으로 새로운 시도들이 항상 한국에서 일어나고 서울에서도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영상취재 : 한일상·김원배·주용진, 영상편집 : 이승희)
심우섭 기자 shimm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크리스마스 '성지'로 불리는 곳들이 있습니다. 예술 작품 같은 화려한 장식을 배경으로 사진 찍으려는 사람들이 몰리는데요. 이 장식을 1년 내내 준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우섭 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매일 오후 5시 반, 무대의 막이 열립니다.
피아노에서 자라난 나무가 꽃잎을 뿌리고 다시 밤하늘의 빛으로 피어납니다.
건물 벽 전체를 감싸는 스크린은 올해 한층 커졌습니다.
[안주영/신세계 비주얼팀 부장 : 매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1년 동안 열심히 살아오신 고객분들께 기대하는 마음, 설레는 마음을 드리고 싶고요. 가서 꼭 봐야 하는 크리스마스 명소가 되고 싶습니다.]
SNS에는 이곳을 배경으로 한 사진들이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시작한 이번 프로젝트에는 프랑스 디자이너들이 함께했습니다.
[크루아제/3D 디자이너 : 프랑스 고객들을 떠올리며 영상을 작업해 봤는데 전체적으로는 유럽의 감성이, 마무리에는 한국적 느낌이 잘 표현된 것 같습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1m 높이의 트리와 좁은 골목들로 이어진 16개의 아기자기한 상점들.
6천 개의 조명이 들어간 이곳은 피카소와 모네가 자주 가던 파리의 한 카페를 모티브로 만들어졌습니다.
[김현아·정채미/경기도 시흥 : 에스컬레이터 타고 올라올 때 좀 보였을 때부터 예뻐서 깜짝 놀랐고요. 작년보다 훨씬 스케일이 커진 것 같아서….]
제작팀은 벌써 내년 크리스마스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정민규/현대백화점 아트디렉터 : 저희가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직전에 유럽으로 출장을 갑니다. 세계에서 어떻게 크리스마스 연출을 했는지를 확인한 다음에 1월에 아이디어 3개를 가지고 발전시켜 8월부터 제작에 들어가서 11월에 오픈을 하게 됩니다.]
세계적인 트렌드를 파악해 창의적인 예술 작품 같은 크리스마스 장식을 탄생시키는 데 꼬박 1년이 걸리는 겁니다.
[박제성/서울대 미술대학 교수 :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항상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이 예술이기 때문에 아티스트들의 창의력이 맞물려서 세계적으로 새로운 시도들이 항상 한국에서 일어나고 서울에서도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일상 속 우연히 마주치는 크리스마스 작품들이 연말 따뜻한 추억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한일상·김원배·주용진, 영상편집 : 이승희)
심우섭 기자 shimm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