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의원은 21일 방송에 나와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의 신뢰 관계는 거의 바닥"이라고 주장했다. 한 전 위원장이 당 대표로 선출되면 당정 관계가 틀어질 수 있다는 논리다. 대통령실 출신 강승규 의원도 최근 "대통령과 당 대표가 갈등을 빚게 되면 정부와 여당이 망하는 길이다. 그런 당 대표를 뽑으면 안 된다"며 한 전 위원장을 겨냥했다. 전대 출마는 안 하지만 한 전 위원장과 잠재적 대권 경쟁 관계인 홍준표 대구시장도 공격에 가세했다. 그는 20일 페이스북에 "총선 참패 주범들이 또 무리를 지어 나서는 것은 정치적 미숙아를 넘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못지않은 뻔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적었다.
10년, 20년씩 당에 몸담은 인사들이라면 '어대한'을 공격할 게 아니라 당내 인물난을 반성해야 한다. 지난 대선 때 정치 문외한과 같은 검찰총장 출신에게 대선 후보 자리를 내준 데 이어 4월 총선에서도 선거 경험이 없는 법무장관 출신에게 선거 지휘를 맡겼다. 보수의 적통이라는 당에서 대중정치인이라고 내세울 만한 인물이 없었기 때문이다. 총선 참패 후에도 달라진 게 없다. 당내 '줄서기'에만 혈안이고 야당과의 싸움엔 전략도, 의지도 보이지 않는다. 대표 한 명 바뀐다고 보수의 위기가 해결되는 게 아니다. 끊임없이 정치 인재들을 발굴해 당의 체질을 바꿔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