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 전기차 포비아②-전기차-배터리의 오해와 진실
내연기관과 전기차 1만대당 화재 발생 건수/그래픽=김지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2023년 9월22일 새벽 전남 광양에 위치한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주민 60여명이 연기를 흡입했고, 130여명이 대피했다. 주차돼 있던 내연기관 차량에서 갑자기 발생한 불로 인한 화재였다. 불은 자동차 10여대를 불태운 후 3시간만에 진화됐다.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화재 규모가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일 발생한 인천 청라 아파트 화재 사고와 판박이 사례다. 광양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이, 인천에서는 전기차가 발화 포인트 였다는 것이 차이난다. 다른 점은 또 있다. 사고 이후 전기차는 마치 시한폭탄 같은 취급을 받고 있지만, 내연기관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이용 금지 등이 거론되는 것을 두고 과잉대응이라는 말이 적잖게 나오는 이유다.
사실 전기차의 화재 확률은 내연기관보다 떨어진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만대당 내연기관 화재는 1.9건, 전기차 화재는 1.3건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합선 등에 따른 '열폭주'의 위험성을 우려하지만, 광양의 사례에서 보듯 내연기관 역시 주차된 상태에서 발화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지난 2일만 해도 대구 중구의 한 주상복합건물 지하 1층 주차장에 주차돼 있던 내연기관 승용차에서 불이 났다. 최근 1~2달 간 비슷한 내연기관 화재는 서울 양천, 인천 송도, 경기 남양주, 대전 중구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발생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경우 800도가 넘는 고온의 불이 나는 경우가 많고, 단단한 밀폐 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화재에 주의해야 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화재에 유의해야 하는 건 내연기관도 마찬가지다. 가장 큰 불로 번지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내연기관이 오히려 3분 정도 더 빠르다. 내연기관에는 휘발유나 경유를 비롯해 엔진구동에 사용되는 각종 유류들도 들어있어서 화재 성장 속도가 더 빠른 측면도 있다.
조선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지난해 '전기차 실화재 진압 시연회'를 통해 "전기차의 초진이나 확산 차단이 내연기관 차량보다 더 어려운 것은 특별히 아니다"며 "막연하게 '전기차는 불이 안 꺼진다' 이렇게만 알고 있었는데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광양=뉴스1) 이승현 기자 = 지난해 9월22일 오전 1시38분쯤 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 2층에서 불이 났다. 내연기관 차량에서 비롯된 화재로 파악됐다. (광양소방 제공) 2023.9.22/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결국 내연기관과 전기차를 둘러싼 모든 차량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셈이다. 화재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스프링클러 설치 규정 강화 등이 현실적 대책이 될 수 있다. 청라 전기차 화재나 광양 내연기관 화재의 경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으며 초동 대응이 사실상 이뤄지지 못했다. 반면 지난 5월8일 전북 군산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는 별다른 피해를 남기지 않고 40여분만에 진화됐다. 스프링클러가 정상 작동한 영향이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에 보다 직접적으로 물을 뿌릴 수 있는 '하부 스프링클러'를 충전지역에 설치한다면, 대형 화재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는 평가다.
전기차와 배터리를 '폭탄' 취급하는 과도한 우려는 글로벌 트렌드에도 맞지 않다. 미국은 2030년 전기차 판매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고, 유럽은 2035년 내연기관 퇴출을 목표로 잡았다. 전기차는 최소 연 20%대 성장을 보장하는 미래 먹거리 시장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전기차·배터리를 죄악시하는 풍조가 확산된다면, 국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만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배터리 산업만 봐도 연산 20GWh(기가와트시)당 4000명 수준의 고용이 가능하다. 장비·소재 등을 납품하는 중소기업까지 포함하면 그 경제효과는 더 클 수밖에 없다.
정교한 제도적 지원도 필요하다. 최해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배터리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리스크 분석에 기반한 탄력적 규제를 적용하는 시스템을 조속히 정비해야 한다"며 "사고 예방, 예측 차원의 사전진단 기술개발에 집중하면서 R&D(연구개발) 지원 등 제도적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