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충무로의 상징'이던 대한극장이 66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쌓이는 적자를 견디지 못한 건데, 극장과의 추억을 기억하려는 시민들의 마지막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함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여든이 넘은 한 시민은 1962년 이곳에서 개봉한 명작을 기억합니다.
[이대군 : 벤허 이런 거. 난 종교 영화를 많이 봐서. (당시 극장이) 아주 새로웠죠.]
[정창호 : 최초로 봤던 게 중학교 때였던 것 같은데 '백 투 더 퓨처'라는 영화. 데이트 코스였어요. 상영관이 엄청 컸던 기억이 나요.]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충무로의 상징이었던 대한극장이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안에서는 철거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곳은 공연장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이영옥 : 뭐라 그럴까. 추억이 사라진다 그런거. 그래서 일부러 왔어요. 옛날에 학창시절 때도 와서 보고 이랬었는데 마지막이라는 말이 이제 좀 아쉽더라고요.]
1958년 문을 연 대한극장은 충무로의 터줏대감이자 한국 영화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런데 적자가 누적돼 오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직격탄을 맞아 결국 문을 닫게 됐습니다.
[한봉순 표제월 : {기분이 착잡해요.} 영화관에서 보는 멋이 있잖아요. 같이 또 영화 얘기도 하고 차도 마시고. 집에서 혼자 (OTT로)보면 또 그런 게 아니잖아요. 극장 없어진 거 너무 아쉬워요.]
이미 단성사와 명보극장은 2008년, 서울극장은 2021년 차례로 문을 닫았습니다.
피카디리 극장은 2015년 CGV에 운영권을 넘겼습니다.
대한극장이 공연장으로 바뀐 뒤에는 영국과 미국에서 흥행한 유명 공연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함민정 기자 , 김재식, 박수민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충무로의 상징'이던 대한극장이 66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쌓이는 적자를 견디지 못한 건데, 극장과의 추억을 기억하려는 시민들의 마지막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함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여든이 넘은 한 시민은 1962년 이곳에서 개봉한 명작을 기억합니다.
[이대군 : 벤허 이런 거. 난 종교 영화를 많이 봐서. (당시 극장이) 아주 새로웠죠.]
소중한 추억이 담긴 곳이기도 합니다.
[정창호 : 최초로 봤던 게 중학교 때였던 것 같은데 '백 투 더 퓨처'라는 영화. 데이트 코스였어요. 상영관이 엄청 컸던 기억이 나요.]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충무로의 상징이었던 대한극장이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안에서는 철거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곳은 공연장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이영옥 : 뭐라 그럴까. 추억이 사라진다 그런거. 그래서 일부러 왔어요. 옛날에 학창시절 때도 와서 보고 이랬었는데 마지막이라는 말이 이제 좀 아쉽더라고요.]
1958년 문을 연 대한극장은 충무로의 터줏대감이자 한국 영화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런데 적자가 누적돼 오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직격탄을 맞아 결국 문을 닫게 됐습니다.
[한봉순 표제월 : {기분이 착잡해요.} 영화관에서 보는 멋이 있잖아요. 같이 또 영화 얘기도 하고 차도 마시고. 집에서 혼자 (OTT로)보면 또 그런 게 아니잖아요. 극장 없어진 거 너무 아쉬워요.]
이미 단성사와 명보극장은 2008년, 서울극장은 2021년 차례로 문을 닫았습니다.
피카디리 극장은 2015년 CGV에 운영권을 넘겼습니다.
대한극장이 공연장으로 바뀐 뒤에는 영국과 미국에서 흥행한 유명 공연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함민정 기자 , 김재식, 박수민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