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바게뜨-뚜레쥬르, 美서 확장세
소품목 취급 현지 베이커리와 달리
300∼400종 판매하는 전략 주효
“쟁반-집게 활용 방식 흥미로워해”
● 미국서 ‘잘나가는’ 파리바게뜨·뚜레쥬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일 SPC그룹에 따르면 올해로 해외 진출 20주년을 맞은 파리바게뜨는 뉴욕 맨해튼에만 13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맨해튼은 세계 경제의 중심지로 꼽힌다. 파리바게뜨는 2010년 맨해튼에 첫 매장을 연 뒤 ‘거점 전략’을 표방하며 중심 상권인 타임스스퀘어, 미드타운, 어퍼 웨스트사이드 등에 잇달아 점포를 열었다. 맨해튼 내 파리바게뜨의 매출은 국내 파리바게뜨 매장 대비 4∼5배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SPC 관계자는 “맨해튼에선 커피와 크루아상, 햄치즈 페이스트리 등 식사 대용 제품이 인기가 많다”며 “뉴요커들이 출근길 아침 식사로 한국 빵을 찾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리바게뜨는 뉴욕뿐 아니라 미국 전역에서 매장을 공격적으로 확장하는 중이다. 2021년 94개였던 미국 매장 수는 2022년 118개, 2023년 150개, 2024년 11월 말 기준 188개 등으로 꾸준히 오름세다. 2030년 1000여 개까지 매장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CJ푸드빌의 뚜레쥬르도 로스앤젤레스(LA), 뉴욕, 뉴저지 등 미국 27개 주에서 138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2030년 미국 내 1000호점을 여는 게 목표다. 현재 미국 조지아주에 생산 공장까지 짓고 있다. CJ푸드빌 관계자는 “최근 K베이커리 인기에 힘입어 미국 각지에서 가맹점 창업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며 “6개 매장을 운영하는 점주도 있다”고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소비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뚜레쥬르는 미국에서 2018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후 6년 연속 실적을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38% 증가해 처음으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당기순이익은 146억 원으로 해외법인 가운데 가장 높았다.
● 수백 종 빵 파는 ‘토털 베이커리’ 전략이 주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베이커리가 미국에서 인기를 끄는 이유는 소품목을 취급하는 현지 베이커리와 달리 수백 종의 빵을 판매하는 ‘토털 베이커리’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양사의 설명이다. 미국 현지 베이커리가 판매하는 품목이 평균 100가지에 못 미치는 데 반해 두 브랜드는 300∼400종의 품목을 취급한다. SPC 관계자는 “쟁반과 집게를 이용한 제품 선택 방식도 현지인들이 K베이커리를 흥미로워하는 이유 중 하나”라며 “대부분의 미국 베이커리는 줄을 서서 매장 직원에게 요청해야 하지만 한국 베이커리는 직접 제품을 관찰하고 여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인기”라고 했다.
한국 고유의 디저트도 K베이커리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단팥빵, 꽈배기도넛, 슈크림빵 등 한국 스테디셀러 제품이 미국에서도 인기가 높다고 한다. 뚜레쥬르는 한국에서 판매하는 ‘순진 우유 크림빵’을 ‘밀크 크림 브레드’라는 이름으로 판매 중인데 올 상반기(1∼6월)에만 50만여 개가 판매됐다. 1분당 2개꼴로 판매된 셈이다.
현지에서 흔한 버터케이크 대신 생크림으로 만든 케이크도 인기 상품이다. 파리바게뜨의 케이크 상품은 올해에만 190만 개 이상 팔렸다. 뚜레쥬르 관계자는 “쇼케이스 속 아기자기하고 화려한 케이크를 한참 들여다보거나 ‘인증샷’을 남기는 소비자들도 많다”고 했다.
김은지 기자 eunji@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