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지지율 정체에 활동 강화
일극체제 비판하며 존재감 확대
김동연 비명계 측근들 포진 중
김경수 친문결집·김부겸 포용책
민주당 비명계 잠룡들의 발언 내용보다는 ‘강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정가의 시선이다. 발언 강도에 따라 대선 출마 가능성과 출마 순서 등을 가늠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정치권에서 거론하는 민주당 내 비명계 잠룡은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3김(金)이 대표적이다. 문재인 정부 초대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임종석 전 실장도 최근 공개 발언 빈도를 높이고 있다. 이들의 최근 비판 발언 강도를 종합해 보면 발언의 세기는 임 전 실장→김 전 지사→김 지사→김 전 총리 등의 순이다.
임 전 실장은 "이 대표 혼자 모든 걸 잘할 수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른바 '대안인물론'에 대한 논의를 열어두자는 메시지라는 해석이다. 정권교체의 대의를 위해 이 대표가 유일한 해답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대표가 국민 다수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이 대표 자신을 제단에 바쳐서라도 반드시 정권교체를 완수하겠다는 사즉생의 각오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임 전 실장의 대선 출마 가능성을 가장 낮게 봤다. 홍현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임 전 실정은 확실한 비명계지만 대선 주자라기보다는 보스의 역할에 가깝다"며 "대통령은 대중적 리더십에 대해 국민들로부터 강한 공감대가 형성돼야 대권주자로 올라설 수 있다"고 했다.
대중적 공감대 형성 측면에서는 김 지사가 비명계 잠룡 중 가장 크다. 김 지사가 이 대표를 비판하는 지점 역시 대중적으로 논쟁이 큰 부분이다. 그는 최근 MBN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진보의 가치와 철학을 실용주의적으로 접근해 푸는 것은 충분히 필요하지만, 가치와 철학이 바뀔 수는 없다"고 했다. 이 대표가 반도체 주 52시간 예외 적용 등을 추진하자 재계와 노동계의 논쟁을 의식한 발언이다. 비명계 인사들을 잇달아 기관장에 포진시키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그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에 기획재정부 시절부터 최측근으로 알려진 김현곤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내정했다. 또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에 이용빈 민주당 전 의원,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역시 유정주 민주당 전 의원을 각각 내정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 전 지사는 최근 민주당에 복당을 신청하고 당내 친문(친문재인) 결집을 시도하고 있다. 대(對)이재명 발언 강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직후인 지난해 12월6일 귀국 당시 "대한민국을 끌어나갈 수 있는 정당을 (이 대표와) 함께 만들 수 있다면 그 과정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한 달 후인 지난달 29일 설 연휴에는 이 대표를 향해 "치욕 속에 당을 떠난 분들에게 사과하라"라고 직격했다. 김 전 지사의 최대 리스크는 2019년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에 따른 선거사범이라는 점이다. 일각에선 김 전 지사가 '친문의 적자'로서 당내 대권 경선 등에서 비명계의 전략적인 캐스팅보트 역할을 기대하기도 했다.
김 전 총리는 비명계 대권주자 거론 인물 중 이 대표에게 가장 유화적 발언을 펼치고 있다. 그는 "민주당의 생명력은 포용성, 다양성, 민주성에 있다"며 이 대표의 포용 정책을 요구했다. 그는 이 대표를 향해 "김 전 지사나 임 전 실장의 비판을 충분히 받아내야 민주당의 전체적인 지지율이 오를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에선 이 대표 정책에 대해 반대 목소리도 냈다. "안정성을 해친다"는 이유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을 반대했고, 이 대표의 최근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아울러 2020년 민주당 당대표를 지낸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오는 10일 광주에서 '국민과 함께 여는 제7공화국'을 주제로 강연한다. 4·10총선 이후 정중동 행보를 펼치고 있는 이 전 총리는 당일 연설에서 연금개혁에 대한 논의를 펼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총리 측근은 통화에서 "새미래민주당 일각에서 조기 대선과 관련해 의견을 개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이 비명계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만일 이 대표가 2심에서 유죄를 받을 경우 비명계는 조기 대선 위기론을 띄우며 후보 교체 가능성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