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박, 소장품 13점 CT기술로 분석
유사한 청자서 제작기법 차이 파악
‘사각 연적’ 속 숨은 이중구조 밝혀
10월 추가 장비 도입… 분석 고도화
![]() |
컴퓨터단층(CT) 촬영으로 본 ‘청자 참외 모양 병’(왼쪽)의 횡단면은 꽃 모양으로 굴곡져있다. 이는 몸체를 물레로 빚은 뒤 바깥에서 세로 골을 파낸 ‘청자 상감 모란·국화 무늬 참외 모양 병’과 다르게, 병 내부에서 섬세하게 굴곡을 눌러 만들었음을 보여준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색이 아름다운 참외 모양 고려청자 두 점이 있다. 그중 하나가 몸통에 꽃이 그려진 것을 제외하면 두 청자는 크기도, 세로로 난 골도, 벌어진 입구도 비슷하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청자 참외 모양 병’과 ‘청자 상감 모란·국화무늬 참외 모양 병’이다. 그런데 고려 인종의 장릉(長陵)에서 출토된 청자 참외 모양 병이 더 단정하고 온화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이 발간한 보고서 ‘컴퓨터단층(CT) 촬영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해석과 이해’에 따르면 그 차이는 “제작 수준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CT 촬영 장비로 청자 참외 모양 병의 기공 분포와 단면 두께 등을 분석한 결과, 일체형으로 제작된 청자 상감 모란·국화무늬 참외 모양 병과 달리 목 부분을 따로 만들어 붙인 사실이 드러났다.
양석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학예연구사는 “일체형보다 만들기 까다로운 대신 하중을 덜 받아 병의 어깨 곡선이 훨씬 자연스럽다”며 “내부 단면까지 꽃 모양인 것은 오늘날 도예가도 따라 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최근 문화재계에선 CT 기술로 유물을 조사하는 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촬영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발전한 덕분이다. 1, 2년 전부터는 유물의 기공 분포와 단면도, 실사용 용량 등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이번 보고서에는 중앙박물관 소장품 13점을 최신 CT 기술로 내부 구조나 제작 기술 등을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
조선 ‘청화 백자 진사 투각 학모양 사각연적’에는 ‘卍’자로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그런데도 물을 담으면 새지 않는다. 내부에 숨은 이중 구조 때문이다. CT로 분석한 결과, 연적 안에 최대 0.06L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집 모양 내기(內器)가 있다. 지붕으로 들어간 액체가 집 아래쪽에 연결된 수도를 따라 기둥으로 흘러 나오는 놀라운 구조다.
중앙박물관이 소장한 ‘건칠관음보살좌상’은 높이가 50.6cm로 현존하는 국내 불상 가운데 가장 작다. 이 불상 역시 CT로 촬영했더니 제작 기법의 정교함이 드러났다. 칠포(漆布·옻칠을 한 헝겊)층이 최대 9겹에 이르지만, 총 두께는 2∼5mm에 불과했다. 곽홍인 학예연구관은 “이런 제작 방식에 대한 데이터가 쌓이면 육안에 의존하는 것보다 훨씬 객관적으로 모조품과 구별할 수 있다”고 했다.
중악박물관은 10월 ‘원통형 CT 장비’도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기존 장비보다 가로세로 길이가 2배가량 길어 목관 등 긴 네모꼴 대형 유물도 촬영할 수 있다. 목재 문화유산의 나이테 분석도 가능하다. 박학수 학예연구관은 “문헌상 조성 시기가 이미 알려진 목재 유물을 기준점으로 절대 연대기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지윤 기자 leemail@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