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우주로 발사됐습니다.
스피어엑스는 12일 낮 12시 10분(현지시간 10일 오후 11시 10분) 미 캘리포니아주 밴덴버그 우주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습니다.
우주항공청에 따르면 스피어엑스는 발사 42분 후인 12시 52분께 발사체에서 분리돼 고도 약 650㎞ 태양동기궤도에 도달했습니다.
이후 오후 1시 30분께 NASA 근우주 네트워크인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지상국 센터와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스피어엑스는 지상에서 관측이 어려운 적외선을 볼 수 있는 우주 망원경으로 전체 하늘을 102가지 색으로 관측해 세계 최초로 적외선 3차원 우주지도를 제작하는 게 목표입니다.
스피어엑스는 발사 후 약 37일간 초기 운영 단계에 돌입해 시험 가동을 수행하고 이 기간 첫 시험 관측도 수행합니다.
제작: 김건태·문창희
영상: 연합뉴스TV·유튜브 NASA·X @NASA
kgt101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스피어엑스는 12일 낮 12시 10분(현지시간 10일 오후 11시 10분) 미 캘리포니아주 밴덴버그 우주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습니다.
우주항공청에 따르면 스피어엑스는 발사 42분 후인 12시 52분께 발사체에서 분리돼 고도 약 650㎞ 태양동기궤도에 도달했습니다.
이후 오후 1시 30분께 NASA 근우주 네트워크인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지상국 센터와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스피어엑스는 지상에서 관측이 어려운 적외선을 볼 수 있는 우주 망원경으로 전체 하늘을 102가지 색으로 관측해 세계 최초로 적외선 3차원 우주지도를 제작하는 게 목표입니다.
스피어엑스는 발사 후 약 37일간 초기 운영 단계에 돌입해 시험 가동을 수행하고 이 기간 첫 시험 관측도 수행합니다.
초기 운영을 마치면 25개월간 관측 임무를 수행하는데, 지구 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 14.5바퀴 돌며 우주를 600회 이상 촬영합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김건태·문창희
영상: 연합뉴스TV·유튜브 NASA·X @NASA
kgt1014@yna.co.kr
![]() |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