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뮤지컬 명성황후 명성황후役 김소현, 고종役 손준호. 사진제공 에이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뮤지컬 명성황후 명성황후役 김소현, 고종役 손준호. 사진제공 에이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뮤지컬 명성황후 명성황후役 김소현, 고종役 손준호. 사진제공 에이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조선 조민정 기자] 뮤지컬 '명성황후'가 30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명성황후 역을 맡은 김소현과 고종 역의 손준호가 작품에 대한 깊은 애정과 부부 배우로서 함께한 소감을 전했다.
13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모처에서는 뮤지컬 '명성황후'(제작 에이콤) 30주년 기념 인터뷰가 진행됐다. 이날 자리에는 뮤지컬 계 잉꼬부부 김소현, 손준호가 자리했다.
김소현과 손준호는 이번 시즌 '명성황후'에서 세 번째로 부부로서 함께 무대에 선다. 김소현은 "20주년 때는 상대역으로 남편을 택하지 않았다. 부부로서 함께하는 것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시즌을 거듭할수록 부부가 함께 연기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는 관객들의 요청이 많았고, 이후 함께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번 시즌 연습 중 명성황후가 죽는 장면을 연습하다 오열했던 순간을 회상하며 "리허설 때 남편이 아들과 함께 노래하는 모습을 보면서 실제처럼 와닿았다. 시대적 배경은 다르지만, 부부로서 감정선이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순간이 많다"고 말했다.
손준호 역시 "고종과 명성황후가 역사적으로 어떤 관계였을까를 많이 고민했다"며 "단순한 정치적 관계가 아니라 서로 사랑했던 부부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내와 함께 연기할 때 느껴지는 편안함 속에서도 왕실 부부로서의 애절함을 무대 위에서 전달하려 했다"고 말했다.
배우 부부로서 서로의 연기와 노래에 대한 피드백을 아끼지 않는다는 두 사람. 김소현은 "준호 씨는 오히려 나에게 연기와 노래에 대한 코칭을 많이 해주는 편"이라며 "오늘 노래가 어땠는지, 연기가 작위적이었는지 등을 가감 없이 이야기해준다"고 말했다.
그는 "긴장하는 스타일이라서 오히려 남편의 조언이 자극이 된다. 다른 상대역과 공연할 때도 피드백을 공유하며 함께 캐릭터를 발전시켜 나간다"고 덧붙였다. 반면 손준호는 "나는 아내의 피드백을 많이 받는 편은 아니다. 하지만 무대 위에서 호흡할 때 상대의 컨디션이 어떤지 금방 알 수 있어서 즉각적인 보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소현은 이번 공연을 기점으로 '명성황후' 200회 공연을 달성했다. 그는 "10년 동안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다. 하지만 매번 마지막 공연이라는 생각으로 임한다"며 "관객들에게도 오늘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수 있기 때문에,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처음에는 이 역할을 세 차례 고사했지만 제작진의 '에너지는 쓰면 쓸수록 나온다'는 조언이 버티는 힘이 됐다고. 김소현은 "회차가 거듭될수록 점점 더 캐릭터에 몰입하고 인물에 가깝게 다가가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30주년을 맞은 '명성황후' 김소현은 이번 시즌 들어 역사를 바라보는 시야가 달라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과거에는 명성황후라는 캐릭터에만 집중했다면 이제는 역사 전체를 '숲'처럼 넓게 바라볼 수 있게 됐다. '우리 역사가 어떤 과정을 거쳐왔는가'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됐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시즌부터는 명성황후와 고종의 관계를 더욱 입체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부가 같은 작품에 출연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김소현은 "서로를 너무 잘 알기 때문에 상대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즉각적으로 알아차리고 보완할 수 있다. 듀엣을 할 때 호흡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것도 장점"이라며 긍정적인 면을 강조했다.
단점도 있었다. 그는 "개인 생활이 거의 없다. 모든 스케줄을 알고 있어서 불편할 때도 있다. 그렇지만 장점이 훨씬 많다"고 말했다.
이날 인터뷰에서 김소현, 손준호 부부는 이들의 아들 주안이가 처음으로 '명성황후'를 관람할 예정이라고 전해 놀라움을 안겼다. 김소현은 "그동안 엄마가 무대에서 죽는 장면을 보기 싫다고 해서 한 번도 보러 온 적이 없었다. 하지만 이제는 가능할 것 같다고 하더라"라고 전했다.
아들이 뮤지컬 배우를 꿈꾼다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김소현은 "절대 반대"라고 단호하게 답했다. 그는 "직업이 얼마나 힘든지 알기 때문에 같은 길을 걷길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 반면 손준호는 "만약 확실한 재능과 열정이 있다면 지지해줄 것"이라며 다른 입장을 보였다.
뮤지컬 '명성황후'는 30년 동안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대한민국 창작 뮤지컬의 대표작으로 자리잡았다. 김소현은 "이 작품을 30년 내내 본 관객도 많다. 할머니 손에 끌려왔던 손녀가 이제는 자신의 손녀를 데리고 오는 세대 간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말 놀랍다"고 말했다.
그는 "작품이 매 시즌 발전하면서도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백성이여 일어나라' 노래를 부르는 장면에서 관객들은 저절로 눈물을 흘린다. 우리가 설명하지 않아도 가슴으로 느끼는 역사의 무게 때문"이라며 작품의 힘을 강조했다.
손준호 역시 "이 작품이 계속 사랑받는 이유는 단순히 역사적 배경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와 정신을 담고 있기 때문"이라며 "'명성황후'가 앞으로도 더욱 깊이 있는 작품으로 발전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역대 마스터피스 공연으로 꼽히고 있는 뮤지컬 '명성황후' 30주년 기념공연에는 명성황후 역에 김소현, 신영숙, 차지연, 고종 역에 강필석, 손준호, 김주택, 홍계훈 역에 양준모, 박민성, 백형훈이 출연해 오는 30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