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부 산하 연구소 INL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연구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협력’
18일 미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지난해 자국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를 보면,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의 도급업체 직원이 수출 통제 대상인 정보를 소지한 채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려다 적발돼 해고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관실은 해당 사건을 2023년 10월1일부터 지난해 3월31일까지 발생한 업무 성과를 정리하는 보고서의 첫머리에 담았다. 감사관실은 유출이 시도된 정보가 특허가 걸려 있던 INL의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였다고 설명했다.
감사관실은 e메일과 채팅 메신저 기록을 조사한 결과, 이 직원은 해당 정보가 수출통제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했다. 직원과 외국 정부 간 소통이 있었다고도 밝혔다. 감사관실은 해당 사안에 대해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수사국이 조사 중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INL과 공동 연구를 하는 대표적인 국내 연구조직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다. 원자로를 돌리고 남은 연료 찌꺼기, 즉 사용후핵연료를 재활용하는 연구인 ‘파이로프로세싱’을 INL과 함께 진행 중이다.
복수의 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경향신문에 “원자력연구원 소속 연구 인력 가운데 논란이 될 만한 사안에 연루된 경우를 찾지는 못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전날 밤 한국 외교부는 미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명단 포함과 관련해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 에너지부가 단지 정보 유출 때문에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했는지에 대해선 의문이 제기된다.
이춘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초빙전문위원은 “미 에너지부는 핵 비확산 분야에 특화된 부처”라며 “윤석열 정부에서 꾸준히 나온 핵무장론이 이번 민감국가 지정에 중요한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은 “대통령이 핵무장론을 언급하게 되면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흐름이 생기기 마련”이라며 “미국이 이런 움직임을 주시하다가 이번 정보 유출이 적발됐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