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커피 한 잔 원가가 120원이라는 이재명 후보의 발언이 정치권에서 뜨거운 공방으로 번졌습니다. 양당이 서로 허위사실 유포라며 고발까지 했는데, 왜 이렇게 논란이됐는지, 김주영 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김 기자, 이재명 후보의 이 발언이 어떤 맥락에서 나왔던겁니까?
[기자]
이 후보가 2019년 경기도지사 시절 계곡에서 불법 영업을 하고 있던 영세업자들을 정리하고, 카페로 전환시킨 성공 사례를 설명하면서 이 발언이 나왔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16일)
"닭 5만원 주고 땀 뻘뻘 흘리고 한시간 동안 고아가지고 팔아봐야 3만원밖에 안남지 않나. 근데 커피 한 잔 팔면 8000원에서 만 원을 받을 수 있는데 원가가 내가 알아보니까 120원이더라."
이 후보는 어제 토론회에서 커피 원재료값은 2019년 당시 기준으로 120원이 맞다며, 자영업자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영업하는 걸 지원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실제 2019년 기준으로 커피 한잔 원가가 120원은 맞나요?
[기자]
업계에서 통상 샷 하나가 들어간 따뜻한 아메리카노 한 잔 기준 커피원두를 10g 정도 쓴다고 하는데요. 관세청 수입원가 기준으로 2019년 3월에서 5월의 평균가격은 10g당 170원대에서 190원대 정도였습니다. 통계상 이 후보가 말한 것보다 50에서 70원정도 높은 수준입니다. 같은 통계 기준으로 120원 대였던건 2010년이었습니다. 다만 커피업계에서는 업소마다 한 잔에 쓰이는 원두양이 다르고, 생두를 직접 볶아 쓰는 업소도 있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틀린 수치는 아니란 의견도 나왔습니다.
공식 수치도 약간 다르군요. 국민의힘도 그렇고 카페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정말 현실을 모르는 얘기다, 이렇게 비판하고 있죠?
[기자]
네 지난달 기준 커피 원두 10g의 수입 원가는 306원대로 2019년보다 한참 올랐습니다. 무엇보다 커피 원가에는 원두값말고도 컵, 빨대 등 소모품 비용과 인건비, 임대료까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카페 업계에서는 중저가브랜드 커피 한 잔 당 마진율은 판매가의 20에서 30%정도로 보는게 통상적이라고 했습니다.
프랜차이즈 카페 사장
"판매가의 재료비는 거의 30~35%고요. 거기에 인건비, 임대료, 기타 잡비 다 포함하면 남는 거는 30%에서 한 20% 정도밖에 안 됩니다."
[앵커]
경기가 안 좋은데다가, 카페 업종도 좋은 상황은 아니라서 자영업자들이 더 민감한 것 같더군요.
네 카페는 국민 창업 업종으로 매년 수천개씩 늘어났었는데요. 올해 들어선 지난해보다 900개 줄어들었습니다. 통계 작성 60년 만에 처음으로 줄어든건데, 그 만큼 지난해 폐업이 많았다는 겁니다. 작년 4분기 카페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9.5%p 감소했고, 다른 업종에 비해서 감소폭이 두드러졌습니다. 원두값이 급증하고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렇게 민감한 숫자, 선거철마다 꼭 등장하는 장면이긴 하죠?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총선을 앞두고 "대파 한 단에 800원대 면 합리적"이란 얘기를 했다가 뭇매를 맡기도 했는데요. 당시 고물가로 대파가 3-4000원대였는데, 정부 지원과 특별 할인을 적용받은 가격을 보고 한 얘기가 타깃이 됐었고요.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공항철도 티켓 발매기에 만원짜리 지폐를 두장 넣은 사건이 있었고, 정몽준 전 한나라당 의원이 1000원이었던 버스 기본요금을 70원이라고 대답해 오랫동안 회자되기도 했습니다.
[앵커]
숫자 하나하나가 중요한게 아니라 서민 경제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느냐, 지도자로서 대책을 내놓느냐 그런 부분 때문에 민감한 것 아닌가 싶은데요, 대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겠군요.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커피 한 잔 원가가 120원이라는 이재명 후보의 발언이 정치권에서 뜨거운 공방으로 번졌습니다. 양당이 서로 허위사실 유포라며 고발까지 했는데, 왜 이렇게 논란이됐는지, 김주영 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김 기자, 이재명 후보의 이 발언이 어떤 맥락에서 나왔던겁니까?
[기자]
이 후보가 2019년 경기도지사 시절 계곡에서 불법 영업을 하고 있던 영세업자들을 정리하고, 카페로 전환시킨 성공 사례를 설명하면서 이 발언이 나왔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16일)
"닭 5만원 주고 땀 뻘뻘 흘리고 한시간 동안 고아가지고 팔아봐야 3만원밖에 안남지 않나. 근데 커피 한 잔 팔면 8000원에서 만 원을 받을 수 있는데 원가가 내가 알아보니까 120원이더라."
이 후보는 어제 토론회에서 커피 원재료값은 2019년 당시 기준으로 120원이 맞다며, 자영업자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영업하는 걸 지원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실제 2019년 기준으로 커피 한잔 원가가 120원은 맞나요?
[기자]
업계에서 통상 샷 하나가 들어간 따뜻한 아메리카노 한 잔 기준 커피원두를 10g 정도 쓴다고 하는데요. 관세청 수입원가 기준으로 2019년 3월에서 5월의 평균가격은 10g당 170원대에서 190원대 정도였습니다. 통계상 이 후보가 말한 것보다 50에서 70원정도 높은 수준입니다. 같은 통계 기준으로 120원 대였던건 2010년이었습니다. 다만 커피업계에서는 업소마다 한 잔에 쓰이는 원두양이 다르고, 생두를 직접 볶아 쓰는 업소도 있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틀린 수치는 아니란 의견도 나왔습니다.
[앵커]
공식 수치도 약간 다르군요. 국민의힘도 그렇고 카페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정말 현실을 모르는 얘기다, 이렇게 비판하고 있죠?
[기자]
네 지난달 기준 커피 원두 10g의 수입 원가는 306원대로 2019년보다 한참 올랐습니다. 무엇보다 커피 원가에는 원두값말고도 컵, 빨대 등 소모품 비용과 인건비, 임대료까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카페 업계에서는 중저가브랜드 커피 한 잔 당 마진율은 판매가의 20에서 30%정도로 보는게 통상적이라고 했습니다.
프랜차이즈 카페 사장
"판매가의 재료비는 거의 30~35%고요. 거기에 인건비, 임대료, 기타 잡비 다 포함하면 남는 거는 30%에서 한 20% 정도밖에 안 됩니다."
[앵커]
경기가 안 좋은데다가, 카페 업종도 좋은 상황은 아니라서 자영업자들이 더 민감한 것 같더군요.
[기자]
네 카페는 국민 창업 업종으로 매년 수천개씩 늘어났었는데요. 올해 들어선 지난해보다 900개 줄어들었습니다. 통계 작성 60년 만에 처음으로 줄어든건데, 그 만큼 지난해 폐업이 많았다는 겁니다. 작년 4분기 카페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9.5%p 감소했고, 다른 업종에 비해서 감소폭이 두드러졌습니다. 원두값이 급증하고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렇게 민감한 숫자, 선거철마다 꼭 등장하는 장면이긴 하죠?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총선을 앞두고 "대파 한 단에 800원대 면 합리적"이란 얘기를 했다가 뭇매를 맡기도 했는데요. 당시 고물가로 대파가 3-4000원대였는데, 정부 지원과 특별 할인을 적용받은 가격을 보고 한 얘기가 타깃이 됐었고요.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공항철도 티켓 발매기에 만원짜리 지폐를 두장 넣은 사건이 있었고, 정몽준 전 한나라당 의원이 1000원이었던 버스 기본요금을 70원이라고 대답해 오랫동안 회자되기도 했습니다.
[앵커]
숫자 하나하나가 중요한게 아니라 서민 경제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느냐, 지도자로서 대책을 내놓느냐 그런 부분 때문에 민감한 것 아닌가 싶은데요, 대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겠군요.
김주영 기자(chu0@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