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10 (목)

벌어 봤자 ‘빈손’… 빚 갚느라 쓸 돈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수침체 악순환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주요국과 비교해 월등히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출 상환 부담은 민간 소비를 제약해 내수 경기 침체를 유발하는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한다. 빚을 갚느라 돈을 안 쓰는 상황이 구조적으로 지속되기 때문이다.

세계일보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74.7%에 달했다. 처분가능소득은 1356조5000억원, 금융부채는 2370조1000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처분가능소득은 소상공인을 포함한 가계와 민간 비영리단체의 총소득에서 세금과 의무지출, 대출 상환 등을 뺀 순처분가능 소득을 의미한다.

금융부채는 한은의 자금순환 통계상 수치다. 시장 가격으로 평가된 비연결기준 가계부채 규모를 나타낸다.

세계일보

빚을 갚느라 돈을 안 쓰는 상황이 구조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2020년 말 182.9%에서 2021년 말 194.4%로 치솟았다가 2022년 말 191.5%, 2023년 말 180.2%, 지난해 말 174.7% 등으로 점차 하락했다.

2023년 말에 비하면 가계부채가 2316조9000억원에서 1년 만에 2370조1000억원으로 2.3% 증가했다. 하지만 소득이 1285조8000억원에서 1356조5000억원으로 5.5% 늘어 부채 비율이 낮아졌다.

최근 가계부채 비율이 다소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OECD 통계상 2023년 말 우리나라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86.5%(잠정치)로 나타났다. 이보다 비율이 높은 나라는 전체 32개국 중 스위스(224.4%), 네덜란드(220.3%), 호주(216.7%), 덴마크(212.5%), 룩셈부르크(204.4%) 등 5개국에 불과했다.

우리나라는 특히 미국(103.4%), 일본(124.7%), 독일(89.0%), 영국(137.1%), 프랑스(121.4%), 이탈리아(82.0%) 등 주요국보다 월등히 높았다.

세계일보

1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많으면 소비 감소, 내수 부진, 성장 둔화로 이어진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민간 소비가 1.1% 정도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가계부채 같은 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회복되더라도 1.6% 정도”라고 말했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5월 보고서에서 “가계의 대출 원리금 상환과 이자 비용 부담이 높아지면서 구매력이 구조적으로 취약해진 상황에서는 소비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차 의원은 “새 정부가 부동산 등에 부채를 동원해 경기를 살리겠다는 유혹에만 빠지지 않는다면 가계부채를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