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양극화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의 복합적 결과이자, 부동산·금융·건설 시장의 리스크와 지역·계층·세대 간 불평등을 확대하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이재명 정부가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다. 한은은 집값 양극화의 주요 원인으로 ▷생산, 고용, 소득 수준 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제력 격차 확대 ▷청년층 인구의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역별 주택 수요 격차 심화 ▷전국적인 주택경기 부양에 따른 지방의 공급 과잉 등을 짚었다.
집값이 다른 지역보다 가파르게 오른다는 것은 곧 주거비 부담 역시 더 커진다는 얘기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빠르게 상승한 주거비는 소비여력을 저하시켜 내수 침체의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비수도권의 공급과잉은 미분양물량 누적 등 건설경기의 구조적 부진을 가져온다. 금융 리스크 역시 서울과 지방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커진다. 수도권은 주택자금 마련을 위한 가계대출이 늘고, 지역은 집값 하락 및 부진 장기화로 신용 위험이 증가한다.
한은의 진단과 제안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먼저 단기정책으로는 수도권 중심의 공급 확대가 긴요하다. 주택건설용 토지가 제한된 수도권에 집을 더 지으려면 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광역교통망을 포괄한 신도시 조성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 이와 함께 지역별로 차별화된 대출 규제를 통해 수도권 쏠림도 막아야 한다. 한은의 ‘주택가격 기대심리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집값 상승 기대심리가 적절히 관리됐을 경우 실제보다 주택가격과 가계대출 상승폭을 대폭 낮출 수 있다. 정부의 공급 방안과 투기 억제 조치, 통화정책(금리) 및 거시건전성정책(대출규제) 등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시장 과열을 막을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지방의 인프라와 일자리 등을 늘려 수도권 인구집중을 해소하고 균형발전을 이루는 것이 궁극의 해결책일 것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