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예결위원장 두고 평행선
![]() |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 등을 위한 여야 원내수석 회동을 위해 운영위원회 소회의실로 향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19일 국회에서 한 시간 동안 공석인 상임위원장 선출 등을 논의했으나 성과 없이 헤어졌다. 전날에도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만나 상임위원장 문제를 논의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국회는 공석이 된 국회운영위원장과 법제사법위원장, 기획재정위원장,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선출해야 한다. 국민의힘이 민주당은 여당이 된 만큼 견제를 위해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자당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나 민주당은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내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유 부대표는 “여당의 입장이 현재까지 한 발도 변화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야당의 입장에서는 비정상적인 원 구성이 22대 (국회) 상반기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번에 정상화하자는 요구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문 부대표는 “지금 국면은 원 구성 협상을 하는 게 아니고 원 구성 협상은 이미 1년 전에 1기 원내 지도부에서 이뤄졌다”고 말했다.
여당은 야당에 국회 본회의 개최도 요청했으나 야당은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를 거절했다. 문 부대표는 “이재명 정부가 제대로 민생 회복할 수 있도록 본회의 일정을 빨리 잡자는 취지로 말씀을 드렸다”고 했다. 유 부대표는 “(본회의 개최에 관해) 입장 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야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면서 추경 처리 시점도 불투명해졌다. 정부는 다음 주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인데 이를 심사할 예결위가 구성되지 않으면 추경 처리와 집행에도 차질이 생긴다.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23일 다시 만나 상임위원장 선출과 추경안 심사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