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2019 청소년특별회의' 출범…"청소년정책 발굴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특별회의 의장단, 청소년활동진흥원 '청소년이사' 첫 활동

연합뉴스

'진선미 장관에게 청소년 참여란?'
(서울=연합뉴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이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서울에서 열린 '2018 청소년특별회의'에서 '장관님에게 청소년참여란' 질문에 답변을 작성해 희망나무에 달고 있다. 2018.11.23 [여성가족부 제공]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청소년들이 직접 정책과제를 발굴해 정부에 제안하는 '청소년특별회의'가 23일 출범한다.

여성가족부는 이날 오후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가 개막하는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올해 제15회 청소년특별회의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청소년특별회의는 정부가 2005년부터 매년 구성해 운영하는 정부혁신 사업 중 하나다. 17개 시·도와 중앙에서 선발 위촉한 450여명 청소년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청소년 정책 실수요자인 청소년 위원들은 직접 청소년 정책과제들을 발굴해 본회의에서 최종 과제를 채택하는 의결권을 갖는다. 이렇게 확정된 정책제안 과제들은 각 관련 부처의 검토를 거쳐 연말 결과보고회에서 공유·발표된다.

청소년특별회의는 2005년 활동을 시작한 이래 492개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이중 436개(87.6%)가 수용돼 정부 정책으로 추진됐다.

특별회의는 2011년 아동성범죄자 신상정보를 청소년들도 열람하도록 제안해 관련 법률 개정을 끌어낸 바 있다. 2014년에는 '안전' 관련 제안 활동으로 이듬해 '청소년활동안전센터'가 설립된 바 있다.

올해 사전투표를 통해 선정된 청소년특별회의 정책 영역은 청소년인권과 양성평등, 학교밖 청소년 지원, 안전, 청소년 경제활동 5가지다.

청소년특별회의를 대표하는 의장단(의장 1명·부의장 2명) 선출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활용한다. 후보자 등록부터 유세 활동, 투표까지 참여 청소년들의 자발적이고 민주적인 과정을 통해 진행한다.

올해 선출된 의장단 중 일부는 공공기관인 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회의 '청소년 이사'로도 선임된다.

'청소년 이사제'는 청소년 관련 기관운영의 청소년 참여를 확대하고자 청소년활동진흥원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제도다.

진선미 여가부 장관은 이날 출범식에 참석해 청소년특별회의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한다.

진 장관은 "청소년특별회의는 청소년들이 직접 참여해 정책과제들을 발굴하고 정부에 제안함으로써, 청소년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기회를 갖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참여'는 청소년의 기본 권리로서, 학업이나 노동, 인권 등 청소년의 삶과 직접 관련된 제도에 청소년 생각이 반영된 정책들이 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eddi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